운동으로 ‘인생역전’한 유영만 교육공학과 교수
유영만 교수가 웨이트트레이닝 덤벨 프레스를 하고 있다. 성남=이훈구 기자 ufo@donga.com
이런 ‘인생역전’이 따로 없다. 사회생활하다 뒤늦게 공부를 시작했다. 너무 공부에만 매진하다 과로로 쓰러졌다. 건강의 중요성을 인식한 뒤 평생 운동을 생활화하고 있다. 교육학을 전공했는데 체육과 출신보다 더 열심히 체력단련에 집중한다. 수업과 강의, 방송에서 운동의 중요성을 알리는데도 열성적이다. 유영만 한양대 교육공학과 교수(58) 얘기다.
“1991년 미국 플로리다주립대 박사과정시절이었습니다. 짧은 영어로 따라가다 보니 잠을 줄여가며 공부에 매진해야 했어요. 그러다 어느 날 과로로 쓰러졌습니다. 그때 체득했습니다. 뇌력을 발휘하려면 체력이 먼저 돼야 한다는 것을…. 그래서 생존 차원에서 운동을 시작했습니다.”
유영만 교수가 경기 성남 정자동 자택 아파트 피트니스센터에서 웨이트트레이닝 스쾃을 하고 있다. “환갑에 허벅지 둘레 60cm를 만드는 게 목표”라는 그는 미국 유학시절 공부에 매진하다 쓰러진 뒤 건강의 중요성을 알게 됐고 평생 운동을 생활화하고 있다. 성남=이훈구 기자 ufo@donga.com
유 교수도 처음엔 뇌력이 먼저 인줄 알았다. 수도공고를 졸업한 그는 취업해 2년 사회상활 하다 다시 공부를 시작했다. “고시에 합격한 체험수기를 본 뒤 인생 역전이라는 게 이런 것을 느끼며 법대에 진학하려고 했다. 그런데 교육공학과에 들어가게 됐다”고 했다. 석사와 박사과정을 하며 ‘공부만 열심히 하면 된다’고 생각하다 쓰러진 뒤에야 신체건강의 중요성을 체득한 것이다.
“정신 나간 사람은 정신력으로 극복하려고 하고, 제 정신인 사람은 체력으로 극복합니다. 극한 상황에서 머리는 절대 몸을 통제하지 못합니다. 정신력이 아닌 체력이 더 중요한 이유입니다.”
유영만 교수가 경기 성남 정자동 자택 아파트 피트니스센터에서 웨이트트레이닝 암컬을 하고 있다. 그는 미국 유학시절 공부에 매진하다 쓰러진 뒤 건강의 중요성을 알게 됐고 평생 운동을 생활화하고 있다. 성남=이훈구 기자 ufo@donga.com
유영만 교수가 트레드밀 위에서 빠르게 걷고 있다. 사하라사막마라톤에 도전했고 마라톤 풀코스도 5회 완주한 그는 “무릎을 위해 달리기 대신 속보를 하고 있다. 운동효과는 속보가 더 좋다”고 말했다. 성남=이훈구 기자 ufo@donga.com
“운동하는 사람은 정신 건강도 좋아요. 머리는 거짓말 하지만 몸과 감정은 거짓말 하지 않아요. 몸을 움직이면 그 느낌이 가슴을 거쳐 머리로 올라갑니다. 우리나라 교육은 뇌만 때리고 있습니다. 몸으로 느끼고 가슴에 온 게 없으니 손발을 안 움직입니다. 실천이 없는 교육이라고 할 수 있죠. 대한민국 교육시스템을 체덕지 위주로 완전히 바꿔야 합니다.”
유 교수는 “성공한 사람이 행복한 게 아니라, 행복한 사람이 성공하는 것이란 인식의 전환이 필요하다”고 했다.
유영만 교수가 웨이트트레이닝 렛풀다운을 하고 있다. 성남=이훈구 기자 ufo@dogna.com
“평범한 대학교수보다 개인의 정체성을 알리는 퍼스널 브랜딩 차원에서 자칭한 것입니다. 지식생태학자는 생명체들이 저마다의 방식으로 살아가면서 경쟁과 협조를 통해 어떻게 거대한 생태계를 유지하고 발전시켜 나가는지를 관찰합니다. 그리고 통찰을 통해 사람의 생각과 조직을 변화시키는 원리를 연구합니다. 예들 들면 지식생태학자는 화초와 잡초를 비교해서 비닐하우스가 날아가면 죽을 수밖에 없는 나약한 화초형 인재보다 모진 비바람과 눈보라를 맞으면서 야생에서 자생력을 기르는 잡초형 인재를 육성하자는 주장합니다.”
유영만 교수가 2015년 킬리만자로에 올랐을 때 모습. 유영만 교수 제공.
“지식생태학자는 갓 잡은 명태를 지칭하는 생태(生太)를 연구하지 않고, 생물이 살아가는 다양한 모습과 그들 간의 관계를 지칭하는 생태(生態)를 연구합니다. 물론 명태의 싱싱한 생태도 연구하고 겨울에 얼린 동태도 연구하지만 여기서 말하는 생태는 명태의 다른 이름인 생태가 아니라 모든 생명체가 살아가는 양태를 지칭하는 생태(生態)입니다. 보다 엄밀히 말하면 지식생태학은 자연 생태가 아니라 다양한 사회역사적이고 문화적인 관계맺음이 일어나는 사회생태입니다. 기존 학습관과 지식관을 비판적으로 분석, 대안적인 관점과 접근논리를 제시하려는 근원적인 생태학적 대안입니다. 지식생태학은 자연 그대로의 생태가 아닌 인간의 의도성과 목적성이 담긴 지식생태를 연구하는 학문입니다. 지식과 생태라는 익숙한 개념이 만나 지식생태라는 낯선 생태가 탄생한 것이죠. 지식생태학의 탐구여정은 우리가 몸담고 있는 조직이나 공동체를 지식생태계로 조성하는 과정, 우리 모두가 꿈꾸는 행복한 지식생태계를 다 함께 디자인하면서 서로가 서로에게 묻고 대답하며 깨달아가는 집단적 성찰의 과정입니다.”
유 교수는 운동하고, 책 읽고, 책 쓰는 것을 밥 먹듯이 하고 있다. 그가 지금까지 쓴 책만 번역서를 포함해 90권이 넘는다. 연구 논문도 다른 교수들에 비해 10배는 많다. 체력이 뒷받침 됐기에 가능했다. 올 초에는 ‘부자의 1원칙, 몸에 투자하라’를 썼다. 아무리 돈이 많아도 건강을 잃으면 소용이 없다며 운동을 강조한 책이다. 그는 “돈도 체력이 있어야 번다. 재테크는 실패할 수 있지만 근(筋)테크는 절대 실패할 수 없다. 돈 번 뒤 병원에 누워 있으면 무슨 소용인가”라고 했다.
유영만 교수가 2012년 250km를 질주하는 사하라사막마라톤에 도전했을 때 모습. 유영만 교수 제공.
유영만 교수가 자전거를 타고 전국일주를 하다 자전거를 들고 활짝 웃고 있다. 유영만 교수 제공.
유 교수는 자전거 인문학이란 책도 준비하고 있다. 4대강 1857km, 동해안해안도로, 제주 둘레길 등 국토완주을 하면서 느낀 점을 책에 담을 계획이다.
운동 습관은 어떻게 들여야 할까?
유영만 교수가 자전거를 타고 질주하다 잠시 멈춰 포즈를 취했다. 올 6월부터 자전거를 타기 시작한 유 교수는 “자전거는 유산소 무산소 운동이 되는 효율적인 스포츠다. 그리고 타고 나가는 순간 세상이 바뀐다. 나와 자연이 하나될 수 있다”고 말했다. 유영만 교수 제공.
유 교수는 운동은 새벽에 해야 효과적이며 알람이 울리자마자 1초안에 일어나 나가야 실천 가능성이 높다고 한다.
“운동을 점심, 저녁 때하면 변수가 너무 많아집니다. 갑자기 없던 약속이 생기도 하고, 회의가 잡히기도 하고. 새벽에 하면 그런 변수가 사라지죠. 그리고 알람 3개를 맞춰놓는 것은 의미가 없습니다. 바로 일어나지 않으면 바로 ‘운동을 하지 않아야 할 이유가 머리를 맴돕니다. 장고 끝에 악수 둔다고. 오래 생각하면 행동은 미뤄지는 법입니다.”
유 교수는 “100세 시대의 화두는 건강과 행복이다. 과거 50대에 정년이었다. 이젠 50년을 더 살아야 한다. 신체성, 즉 건강이 확보돼야 100세까지 즐겁게 살 수 있다. 운동은 선택이 아닌 필수”라고 재차 강조했다.
양종구 기자 yjongk@donga.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