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성인 클래식음악 칼럼니스트
1907년은 말러에게 위기의 시간이었다. 장녀 마리아를 잃었고, 10여 년간 재직하던 빈 오페라 예술감독 자리에서 물러났으며, 심각한 심부전증으로 언제 심장마비가 올지 모른다는 진단을 받은 것이었다.
의사의 권유로 시골에 여름 요양을 떠난 말러는 그때 중국 이백(李白·701∼762)의 시를 처음 접했다. 취흥이 올라 천재와 같은 번뜩임으로 시를 쏟아냈다는, 세상의 온갖 비탄을 짊어진 유랑객으로서 결국 달그림자를 잡으려다 익사하고 말았다는 이 전설적인 인물은 말러에게 깊은 인상을 남겼다. 이후 말러는 한스 베트게의 번안 시집 ‘중국의 피리’에 곡을 붙이게 된다. 왜 말러는 중국의 옛 시를 두고 작곡한 것일까.
말러는 유명 지휘자였지만 평생 이방인으로 살았다. 어딜 가든 유대인이라는 꼬리표가 따라붙었다. 돌이킬 수 없는 타격을 받은 뒤 그는 자기 삶을 회고적으로 돌아보게 되었다. 이 작품에는 경계를 지우고 한계를 넘어서려는 마음과 더불어 근원과 본질, 곧 인간성에 대한 그리움이 들어 있다. 그는 배경을 먼 나라 중국의 당나라 시대로 옮긴다. 말러는 자신의 상황, 맥락을 지우고 실존 그 자체에만 집중하고자 했던 것이다.
‘대지의 노래’는 교향곡과 가곡의 경계, 동양과 서양의 경계, 삶과 죽음의 경계에 놓여 있는 ‘혼종 음악’이다. 동방적인 5음계와 복합박자에서, 관현악과 솔로 성악의 조합에서 그런 뒤섞임을 느낄 수 있지만, 실은 우리 존재 자체가 뒤섞여 있지 않은가. 경계를 긋지 말자. 삶은 뒤섞여 있고 외로운 우리는 인간다움이 그립다. 영원히 그럴 것이다. 어쩌면 그것이 말러가 진정으로 하고자 했던 말이었으리라.
나성인 클래식음악 칼럼니스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