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는 2022년 3월9일 치러지는 제20대 대통령 선거는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후보와 윤석열 국민의힘 후보간 양강 구도에서 치러지게 됐다. 이 후보와 윤 후보가 4개월간의 대선 전쟁에 돌입하게 된 것이다. 이 후보는 기득권 타파를, 윤 후보는 정권 심판을 기치로 일합을 겨루게 된 셈이다.
윤 후보는 5일 서울 용산 백범김구기념관에서 열린 국민의힘 전당대회에서 최종 득표율 47.85%로 제1야당 대선 후보직에 올랐다.
윤 후보는 문재인 정권에서 박근혜 정부 적폐청산을 주도하며 서울중앙지검장, 검찰총장에 올랐지만 ‘친문 핵심’ 조국 일가 수사를 계기로 현 정권과 대립각을 세웠다. 특히 ‘추윤 갈등’은 그를 현 정권의 피해자 또는 ‘내로남불’을 상징하는 인물로 부상시켰다.
그는 이날 후보 수락 연설에서 “저의 경선 승리를 이 정권은 매우 두려워하고 뼈 아파할 것”이라며 “조국의 위선, 추미애의 오만을 무너뜨린 공정의 상징이기 때문”이라고 주장했다. 이 후보와 대결을 ‘상식과 비상식’의 대결로 규정하기도 했다.
이에 맞선 이 후보는 소년공 출신 법조인이다. 성남시장 재임 당시 전국 지방자치단체 최초로 모라토리엄을 선언하고 청년 배당 등 무상 시리즈로 선보여 존재감을 알렸다. 촛불 시위에 적극 참가해 인지도를 높였다.
그는 민주당 19대 대선 경선에서 경쟁 후보였던 문 대통령을 비난해 친문의 반감을 샀지만 특유의 선명성으로 경기지사 도전에 성공했다. 경기지사 재임 중에도 청년 기본소득 등 무상 시리즈를 이어갔고 결국 비주류임에도 여당 대선 후보직을 거머쥐었다.
기득권 타파를 공언한다. 앞선 출마 선언문에서 특권과 반칙에 기반한 강자의 욕망을 절제 시키고 약자의 삶을 보듬는 ‘억강부약’(抑强扶弱)을 제시했다.
이 후보와 윤 후보는 사법당국이 정치적 운명을 쥐고 있다는 공통점도 있다.
이 후보는 성남시장 당시 시행한 대장동 공영개발과 관련한 특혜 의혹으로 야당으로부터 특별검사 임명을 수용하라는 압박을 받고 있다. 이 후보와 민주당은 혐의를 부인하고 있지만 세간의 시선은 이 후보를 향해 쏠리고 있다.
윤 후보도 검찰총장 재임 당시 고발사주 의혹으로 고위공직자범죄수사처(공수처)에 직권남용권리행사방해 등 혐의로 입건 돼 있다. 윤 후보 장모와 부인도 사기와 주가조작 연루 등 혐의를 받고 있다. 다만 윤 후보 측은 혐의를 모두 부인하고 있다.
이 후보와 윤 후보는 박빙으로 예상되는 본선에서 승리하기 위해 정의당과 국민의당과 단일화도 타진할 것으로 보인다. 두 후보는 모두 단일화 또는 연대 의사를 수차례 밝힌 바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