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의 한 코로나19 백신 예방접종센터를 찾은 시민이 백신 접종을 받고 있다. 뉴스1
1일 단계적 일상 회복(위드 코로나) 시작 후 일주일이 됐지만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확산세가 이어지고 있다. 특히 위중증 환자 수가 400명을 넘었고, 사망자 수는 39%(직전 주 대비)나 늘었다. 중환자 병상 가동률도 50%(6일 오후 5시 기준)를 넘어섰다. 아직 여유가 있지만 ‘핼러윈데이’와 위드 코로나 영향이 본격화해 이번 주 확진자가 급증하면 가파르게 높아질 가능성이 있다. 최근 확산세는 30세 미만과 60대 이상에서 두드러진다. 30세 미만의 경우 백신을 거의 맞지 않은 소아·청소년의 확진이 증가하고 있다. 반면 60세 이상의 접종 완료율은 90% 수준이다. 백신 효과 하락에 따른 ‘돌파감염’ 영향이 갈수록 커지는 것으로 보인다.
● ‘백신 효과’ 언제까지 지속되나
7일 의료계에 따르면 국내에서 2차 접종 실시 후 한 달도 안돼 감염된 사례가 확인됐다. 천은미 이대목동병원 호흡기내과 교수는 “2차로 백신을 맞고 한 달 이내에 감염됐다가 치료된 사례가 있었는데 60세 이상의 고령층 남성이었다”며 “접종을 완료했다 하더라도 6개월이 지났다면 돌파감염에 취약하다”고 말했다.방역당국이 발표한 최근 돌파감염 발생률(지난달 24일 기준)은 0.076%로, 접종자 10만 명당 76명꼴이다. 4주 전(9월 26일) 0.053%에 비해 꾸준히 늘고 있다. 증가 속도는 60세 이상 고령층에서 특히 가파르다. 같은 기간 60세 미만 연령대는 돌파감염자 증가가 미미했는데 60대 58.7명, 70대 53.5명, 80세 이상 58.5명으로 고령층에선 급증했다.
● 방역당국 “일반 고령층 부스터샷 간격단축 검토”
현재 미국, 프랑스, 독일 등 해외에선 접종 완료 6개월 후 추가접종(부스터샷)을 진행하고 있다. 이스라엘은 유일하게 5개월 후 추가접종을 한다. 국내에서도 ‘접종 완료 후 6개월’을 기본으로 했다. 문제는 60대 이상 고령층이다. 이들 가운데 아스트라제네카 백신을 맞은 60~74세는 8월에야 접종이 완료돼 내년 2월에야 추가접종 대상이 된다. 앞서 방역당국은 요양병원 종사자와 입소자 등 일부 감염 취약 시설에 대해서만 접종 간격을 5개월로 단축했다.하지만 이들의 접종간격을 5개월로 당긴다고 해도 본격적인 부스터샷 시점은 내년 1월에야 돌아온다. 백신 접종 초기 백신 수급 불안으로 기본 접종 자체가 늦어진 것이 부스터샷 접종 일정에 연쇄적으로 영향을 주는 것이다. ‘위드 코로나’ 시작과 함께 돌파감염자가 늘어날 우려가 있는 올해 연말은 부스터샷 없이 버텨야하는 셈이다.
이에 대해 방역당국은 60대 이상 일반 고령층에 대해 부스터샷 간격 단축을 검토한다는 방침이다. 7일 김기남 예방접종대응추진단 접종기획반장은 “최근 고령층의 접종 간격만이라도 6개월에서 더 당기자는 지적이 있어 해외사례 등 검토를 진행 중”이라며 “얼마나 더 당기는 것이 타당한지 충분한 근거와 전문가 동의를 얻을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한편 정부는 화이자와 경구용 치료제 7만 명분 구매 약관을 체결했다고 6일 밝혔다. 최근 화이자의 경구용 치료제가 입원·사망 확률을 89%까지 줄여준다는 임상시험 결과가 나왔다.
이지운 기자 easy@donga.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