단계적 일상 회복(위드 코로나)을 본격적으로 시작한 1일 오후 경기도 평택시 박애병원에서 관계자들이 코로나19 환자 병실을 모니터링 하고 있다. 2021.11.1/뉴스1 © News1
확진자 증가와 맞물려 수도권 지역 코로나19 중환자 병상 가동률이 70%를 넘어섰고 ‘비상계획’ 발동 우려도 이어지자 정부는 병상 추가확보와 효율화 전략을 적극 추진하겠다는 방침이다.
12일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에 따르면 이날 0시 기준 중환자 전담 치료병상 가동률은 58.5%를 기록했는데 특히 수도권 내 병상 가동률은 73.1%, 서울은 75.4%에 달한다. 서울은 단계적 일상회복 일상회복을 멈추고 방역 조치를 강화하는 ‘비상계획’ 기준으로 정부가 제시한 75%를 초과했다.
이에 이기일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 제1통제관은 이날 오전 중대본 브리핑에서 ‘수도권 확진자 증가에 따른 긴급의료대응계획’을 발표했다.
최근 돌파감염·집단감염이 발생하고 있는 요양병원·시설 내 확진자 증가에 대응하기 위해서 지난 11일 감염병전담(요양)병원 4개소, 405병상을 추가 지정했다. 서울에 2개소 180개 병상, 인천과 경기에 각각 1개소 225개 병상을 지정했다.
이와 함께 수도권 700병상 이상 종합병원 7개소에 준중증병상 확보 행정명령을 내려 52개 병상(허가병상의 1%)을 추가로 확보한다. 행정명령에 따른 병상 확대로 인한 의료인력 문제는 각 병원 요청을 받아 중앙사고수습본부(중수본) 대기인력을 지원할 계획이다. 대기인력은 의사 17명, 간호사 4376명(중환자 경력 1113명 포함)이다.
병상 회전율을 높이기 위해 정부는 중증병상의 경우 중환자실 입원 적정성 평가를 강화해 중환자실 치료가 반드시 필요한 환자 위주로 운영하고, 상태가 호전된 중환자를 연계해 치료하는 준증증병상을 확충한다는 방침이다.
중등증병상에서는 의학적 치료가 필요하지 않은 환자를 적시 퇴원해, 퇴원환자를 거점 생활치료센터 또는 재택치료와 연계하도록 입원일수에 따른 차등 인센티브, 퇴원기준 개선 등 다양한 방안을 검토한다.
(서울=뉴스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