병상 늘리려 일반환자 2배 내보내… 5차례 동원령에도 여전히 부족 의료인력 충원문제도 해결 안돼… 정부, 수도권환자 지방 이송 검토 환자상태 급격 악화 우려 있고 비수도권 일부는 이미 병상 꽉 차
○ 암 환자 40명 내보내야 코로나 병상 20개
일반 병실을 코로나 환자용 병실로 바꿔 16일 경기 용인시 신갈백세요양병원에서 간호사들이 기존 병실을 코로나19 환자용 음압 병실로 바꾸고 있다. 이 병원은 지난주 감염병 전담요양병원으로 지정됐다. 지난주 전체 코로나19 확진자 중 60세 이상 환자가 32.6%에 이르는 등 고령 환자 비율이 급증한 데 따른 조치다. 전날 오후 5시 기준 수도권 중환자 병상 가동률은 76.1%였다. 용인=김재명 기자 base@donga.com
암 환자 40여 명을 내보낸 자리에 코로나19 병상 20여 개만 설치할 수 있는 것은 코로나19 중환자 관리에 더 많은 장비와 인력이 필요하기 때문이다. 코로나19 중환자는 에크모(ECMO·인공심폐기)를 달아야 한다. 간호 인력도 일반 환자 대비 3, 4배 더 많이 필요하다.
병원 응급실도 코로나19 환자가 늘어나 일반 환자가 제때 치료받지 못할 것이란 우려가 커진다. 중앙응급의료센터에 따르면 16일 오후 3시 서울 응급실의 음압격리병상 가동률은 86%에 이른다. 강형구 한양대병원 응급의학과 교수는 “1일 단계적 일상 회복 이후 서울의 모든 병원 응급실이 동맥경화처럼 꽉 막힌 상태”라고 전했다.
○ “병상 늘려도 의료 인력이 부족하다”
이날 정부와 22개 병원장은 의료진 부족 문제를 심각하게 논의했다. 병상을 늘려도 정작 환자를 치료할 의사, 간호사가 부족하다는 것이다.이미 적지 않은 의료진이 번아웃(burnout·소진) 상태에 빠졌다. 수도권의 B병원장은 “병원마다 코로나19 중환자를 볼 수 있는 감염내과나 호흡기내과 인원이 다른데 정부가 병상을 일괄 확대하라고 하니 난감하다”고 말했다. 박향 중수본 방역총괄반장은 “의료 인력 지원 방안을 고민하겠다”고 말했다. 치료 장비가 부족하다는 지적도 있다. 특히 음압병동에 필요한 음압장비 공급이 원활하지 않은 것으로 알려졌다. B병원장은 “병동을 다 만들었는데 음압 장비가 2, 3주 후에 들어오는 경우가 있다”고 전했다.
○ 비수도권도 곳곳서 환자 포화
정부는 병상 포화 상태에 이른 수도권 코로나19 환자를 비수도권으로 옮기는 전원(轉院) 방침도 내놨다. 통상 환자들은 증세가 약한 순으로 경증, 중등증, 중증 등으로 분류하는데, 중등증 환자를 수도권에서 비수도권으로 옮기겠다는 것이다. 하지만 일부 환자들은 이송 중 상태가 급격히 악화될 수 있어 이동형 중환자실(MICU)을 이용해야 한다. 이 장비가 부족한 것이 수도권 환자 분산의 ‘걸림돌’로 꼽힌다.김소민 기자 somin@donga.com
김소영 기자 ksy@donga.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