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트렌드 생활정보 International edition 매체

화이자 5개월, AZ 3개월뒤 항체 줄어… ‘델타’엔 15~50%로 급감

입력 | 2021-11-18 03:00:00

[코로나19]부스터샷 간격 단축 왜?




정부는 현재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유행 상황이 악화되는 가장 큰 원인으로 고령층 돌파감염을 꼽았다. 6일 기준 국내 80대 이상 백신 접종자의 돌파감염 발생 비율은 인구 10만 명당 183.4명으로 전 연령 기준인 99.2명보다 배 가까이로 높았다. 백신 접종 후 3∼5개월이 지나면 예방 효과가 눈에 띄게 감소하는 상황에서 상대적으로 일찍 백신을 맞은 고령층 감염이 증가했다는 분석이 나온다.

○ 백신 3∼5개월 후 효과 감소

중앙방역대책본부(방대본)는 17일 국내 백신 접종자 499명을 대상으로 중화항체가(예방 효과가 있는 항체의 양)를 분석한 결과를 발표했다. 연구에 따르면 화이자 접종자는 접종 완료 후 5개월, 아스트라제네카 접종자는 3개월까지 항체의 양이 일정 수준 유지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델타 변이 항체가는 모든 백신에서 기존 바이러스 항체가의 15∼50% 수준에 그쳤다.

정부가 60대 이상의 추가접종(부스터샷) 간격을 4개월로 줄인 것도 이런 연구 결과에 바탕을 둔 것이다. 60∼74세가 맞은 아스트라제네카 백신은 시간이 흐르며 항체가가 상대적으로 빨리 줄었다. 델타 변이가 유행하는 상황에서 화이자 백신은 2차 접종 2주 후 338이던 항체가가 5개월 뒤 168로 떨어졌다. 아스트라제네카는 접종 2주 후 207이던 것이 3개월 뒤에는 98까지 하락했다. 아스트라제네카 백신을 맞은 60∼74세는 기존 일정대로라면 대부분 내년 2월 추가접종이 가능했다. 하지만 이번 조치로 연내 추가접종이 가능해졌다.

고령층과 요양병원·시설 입소자 및 종사자도 2차 접종 완료 후 4개월이 지나면 추가접종을 받을 수 있다. 군인, 경찰관, 소방관, 보건의료인 등 우선접종 직업군과 50대도 추가접종 간격이 5개월로 줄었다. 올해 안에 추가접종을 받는 대상자는 1378만4000여 명이다.

건강한 49세 이하는 아직 추가접종 대상에 포함되지 않았다. 하지만 이 연령대의 접종 완료 시기를 고려하면 내년에 추가접종이 시작될 것이란 관측이 나온다. 정은경 질병관리청장은 “많은 전문가가 결국은 전체적으로 추가접종을 해야 할 것이라 보고 있다”고 설명했다. 해외에서는 이스라엘, 일본 등이 12세 이상 접종자 전체에 대한 추가접종을 실시하고 있다.

한편 접종 간격 단축을 결정한 16일 예방접종전문위원회에서도 일부 위원은 “안전성을 입증할 근거가 부족하다”는 소수 의견을 낸 것으로 알려졌다. 미국과 영국 등 대부분 국가가 추가접종 간격을 6개월로 유지하고 있기 때문이다. 최은화 예방접종전문위원장은 17일 브리핑에서 “미국 국립보건원에 따르면 추가접종 간격을 12주로 했을 때 백신의 안전성과 유효성에 차이가 없었다”고 밝혔다.

○ 30세 미만 모더나 접종 제한

예방접종전문위원회는 앞으로 30세 미만의 모더나 백신 접종을 제한하기로 했다. 프랑스에서 모더나를 맞은 20대 이하 접종자의 심근염 및 심낭염 발생이 화이자의 5배에 이르는 등 부작용이 크다는 보고가 잇따랐기 때문이다. 방역당국은 12일까지만 해도 “자료가 충분하지 않다”며 유보적인 입장이었으나, 닷새 만에 접종 제한 결정을 내렸다.

이번 조치로 모더나 백신으로 1차 접종한 30세 미만은 2차 접종에서 화이자를 맞게 된다. 단, 추가접종은 정량의 절반만 투여해 위험성이 낮다고 보고 30세 미만도 모더나 접종을 허용한다. 아스트라제네카 백신은 올해 말까지만 사용한다. 이에 따라 SK바이오사이언스는 아스트라제네카 백신 위탁 생산을 중단할 것으로 보인다.

한편 방역당국은 앞으로 매주 방역 상황을 평가해 위험도를 5단계(매우 낮음∼매우 높음)로 발표하기로 했다. 중환자실 병상 가동률, 60세 이상 확진자 비율, 추가접종률 등 총 17개 항목이 지표로 쓰인다. 이를 바탕으로 4주마다 ‘단계 평가’를 실시해 단계적 일상 회복의 다음 단계를 실행할 수 있을지를 평가한다. 평가에서 위험도가 ‘매우 높음’으로 나오거나 중환자실 병상 가동률이 75%에 도달하면 방역을 다시 강화하는 ‘비상 계획’ 도입을 검토한다. 정 청장은 “지난주 기준으로 비수도권은 ‘매우 낮음’, 수도권은 ‘중간’ 수준이지만 위험도가 점차 증가하고 있다”고 평가했다.




이지운 기자 easy@donga.com
김성모 기자 mo@donga.com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