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트렌드 생활정보 International edition 매체

소득은 줄고 고령화 가속… 농업, 고부가가치 ‘6차산업’이 답

입력 | 2021-11-29 03:00:00

농림축산식품부-동아일보 공동기획
농촌융복합산업 육성 성과-전망




현재 우리나라는 경지 면적이 넓지 않고 농업소득이 불안정한 상황이다. 더군다나 농업 종사 인구의 상당수가 고령화돼 있어 농가 소득 정체 및 농촌지역의 활력 저하가 우려되고 있다. 이에 대응하기 위해 생산·제조·관광 등 가치사슬의 연계를 강화하는 농촌융복합산업(6차산업)의 필요성이 높아지고 있다. 농촌융복합산업은 농촌에 있는 유무형 자원(1차산업)을 바탕으로 제조·가공 등의 2차산업과 유통·판매, 문화·체험·관광 등의 서비스 3차산업의 연계해 새로운 부가가치와 지역의 일자리를 창출하는 활동을 말한다.

그러나 농업인이 아무리 창의적인 아이디어를 가지고 있더라도 현실적으로는 6차산업에 필요한 기술, 경영 능력, 자본 등이 부족해 ‘사업’으로 연결하는 데 어려움을 겪는 경우가 많다. 또 사업 다각화를 추진하고 싶어도 방법을 몰라서 시도조차 못 하기도 한다.

이에 농림축산식품부는 주요 업무 중 하나로 농촌융복합산업을 선정하고 농업 경쟁력을 높이고 농촌관광 등 고부가가치 사업을 다각도로 추진하고 있다. 이와 함께 농촌지역의 자원이 집적된 지역을 6차산업 지구로 지정하고 다양한 산업이 융복합된 ‘지역특화산업의 클러스터’로 육성하는 등 지역경제 활성화를 위해 힘쓰고 있다.

농식품부 농촌산업과 관계자는 “다양한 정책 시행을 통해 농촌융복합산업 인증 사업자 수와 매출액, 관련 일자리 증가 등 가시적인 성과는 있었으나 지속되지는 못했다”고 전했다. 영세 업체들의 경우 경영 역량이 미흡한 데다 창업자들은 3, 4년 차 성장절벽을 직면하며 꾸준한 성과를 이끌어내지 못했다는 설명이다.

농식품부는 농촌의 외형적 성장과 더불어 내실화를 위해 6차산업 소비를 강화하고 업체들에게 맞춤형 지원을 하는 등 다방면으로 힘쓰고 있다. 그 결과 올해는 농촌융복합산업 인증사업자 수는 물론이고 매출액, 일자리 증가 등 성장세가 지속되고 있다. 갱신인증, 온라인 상설 판매관 개설 등을 통해 농촌융복합산업 업체 내실화와 판로 확대의 성과가 있었던 것.

우선 2020년 1909곳이었던 농촌융복합산업 인증자 수는 2021년 11월 현재 2043곳으로 늘었다. 또 인증 유효기간 만료가 도래한 826개 경영체를 대상으로 지난 3년간(2018∼2020년) 지역 내 일자리 창출 및 매출 성장률 등 사업 성과를 반영해 갱신 인증을 실시해 6차산업 경영체의 내실화를 추구했다.

다음으로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장기화로 농촌융복합산업 인증사업자의 경제적 어려움 극복 차원에서 우체국쇼핑몰 내 농촌융복합산업 브랜드관을 개설하는 등 안정적인 판로를 개척했다. 라이브커머스 교육, 네이버 기획라이브를 통해 매출액 1억200만 원을 달성했다. 여기에 사회적 거리 두기 강화로 인한 체험·관광 위주 업체들의 애로사항을 해소하기 위해 농촌융복합산업의 콘텐츠를 직접 경험할 수 있는 온라인 체험단을 운영해 농촌융복합산업 정책을 적극 홍보하고 업체들의 이해와 참여를 높였다.

농식품부는 농촌융복합산업 업체에 성장 단계별로 맞춤형 전문가 컨설팅을 제공하고, 농산물 종합가공센터를 설치 확대(2020년 90곳→2025년 110곳)하는 등 안정적인 성장을 유도했다. 앞으로 농촌융복합산업 우수사례 경진대회를 지속적으로 개최해 우수 업체의 사례를 벤치마킹 기회로 제공하고 농촌융복합산업 활성화에 대한 공감대를 형성할 계획이다.

또 체계적인 농촌융복합산업 기초 실태조사도 격년제로 진행할 방침이다. 이는 농촌산업의 현황과 매출액, 일자리 상관 관계 등을 분석해 정책 수립 자료로 활용하기 위해서다. 특히 시도 및 시군 단위까지 조사해 정책 수립을 위한 기초 통계자료로 쓸 예정이다.

농식품부는 상설체험관을 상시 운영해 농촌융복합산업 제품을 홍보하고 판로를 확대할 계획이다. 또 전문매장 ‘비욘드팜’을 늘리고 온라인몰 ‘11번가’를 비롯해 편의점, 리조트, 무인판매대를 활용해 제품 홍보와 판로를 다변화할 방침이다. 특히 공공급식 로컬푸드 공급 확대에 농촌융복합산업 가공제품을 포함하는 등 기존 온·오프라인 매출 증대 한계를 극복하기 위해 다각도로 노력을 기울일 것이라고 농림부 측은 전했다.

더불어 지역 특화품목 중심의 산업 간 연계강화 및 다각화, 고도화를 통해 부가가치를 창출하고 지역경제를 활성화하기 위해 농촌융복합산업지구 사업을 지속적으로 선정해 지원할 계획이다.

황효진 기자 herald99@donga.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