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진 뉴시스
“빈집으로 남아 있는 단독주택 3채를 철거하고 그 자리에 아동 돌봄센터와 지역주민이 공동으로 사용하는 공부방을 짓겠다.”
국토교통부는 갈수록 늘어나는 빈집의 심각성에 대한 국민적 관심을 끌어내기 위해 실시한 ‘제1회 빈집 활용 아이디어 공모전’에서 ‘지역맞춤형 아동 돌봄센터’가 제시한 개발 방안이 대상으로 선정됐다고 1일 발표했다.
이 작품은 경기도와 경기주택도시공사, 동두천시가 협업하여 빈집 정비사업 시범사업으로 추진 중인 프로젝트이기도 하다.
수상작은 기본적인 개념만 제시한 ‘아이디어형’과 어느 정도 구체화된 수준인 ‘설계형’, 실제로 활용되고 있는 ‘활용사례형’ 등 3개 부문으로 나눠 정해졌다. 부문별로 최우수작은 1편, 우수작은 2편이다.
● 동네 빈집을 아동돌봄센터로 활용하자
대상을 받은 ‘지역맞춤형 아동 돌봄센터’는 동두천시 생연동에 위치한 단독주택 3채를 헐고 아동돌봄센터를 짓는 사업이다. 대지면적 601㎡에 3층 높이, 연면적 700㎡ 규모의 건물을 올릴 계획인데, 사업비로 36억 원이 책정됐다. 건설은 경기도시개발공사가, 운영은 동두천시가 각각 맡는 방식으로 진행될 예정이다. 이 지역은 미군기지를 중심으로 생활권이 형성됐던 곳으로, 미군기지가 이전하면서 쇠퇴하기 시작해 빈집이 늘어나고 있는 지역이다. 경기도시개발공사는 빈집을 매입해둔 상태에서 내년 초 건물에 대한 현상설계 공모를 진행하기로 했다.
활용사례형 부문에서 최우수작은 경북 김천시의 ‘자산골 마당 깊은 집’이 선정됐다. 김천시 자산골에서 오래된 단층 목조주택 빈집을 리모델링한 뒤 주민문화센터로 활용한 경우다.
설계형 부문에서는 ‘청소년 문화의 집’이 최우수상, ‘가변형 주거공간과 복합문화시설’ ‘자율주택정비사업을 통한 빈집 정비’가 우수상을 각각 받았다. 정비사업을 통해 문화사업이 가능한 공간이나 주거시설 등으로 활용하는 게 핵심이다.
아이디어 부문 수상작은 지역주민 편의 지원 수준을 넘어선 작품들이어서 눈길을 끈다. 최우수상으로 선정된 ‘보육원 독립 청년 대상 주거지원’은 10년 장기 임대주택이다.
우수상으로 선정된 ‘주택 골목 안심 책임지는 우리동네 랜드마크’는 24시간 안심조명과 택배보관함 등이 설치돼 있고, 지역주민 간 중고거래가 이뤄지는 장소로 빈집을 활용하는 방안이다. 나머지 우수상을 받은 ‘반려인과 반려동물을 위한 네트워킹 공간 Pet-ppy house’는 빈집을 반려동물 편의시설과 반려인을 위한 교육 및 정보나눔 공간을 활용하자는 것이다.
● 아파트 뺀 주택 10채 중 1채는 빈 집
이번에 선정된 작품들은 한국부동산원 누리집을 통해 확인할 수 있다. 정부는 앞으로 민간이나 공공의 빈집 정비사업에 활용할 수 있도록 홍보책자나 영상물 등으로도 제작할 방침이다. 안세희 국토부 도심주택공급협력과장은 “이번 공모전을 통해 발굴된 다양한 빈집 정비모델이 현장에서 활용될 수 있도록 적극 홍보하는 한편 빈집 정비사업에 대한 자금 지원이나 세제 혜택 등을 부여해나갈 방침”이라고 밝혔다.
정부가 이처럼 빈집 재활용에 공을 들이는 이유는 그만큼 전국 도시지역의 빈집 상황이 심상치 않기 때문이다.
통계청에 따르면 지난해 11월1일 기준 전국의 빈집은 151만1306채로 집계됐다. 전체 주택(1852만6000채)의 8.2%에 달하는 물량이다. 이 가운데 아파트를 제외한 경우 빈집은 68만3000채로 전체 주택(686만4000채)의 10.0%에 달한다. 10채 중 1채는 빈집이라는 뜻이다.
빈집의 증가세도 심상치 않다. 만 5년 전인 2015년(106만8919채)과 비교하면 무려 41.4%가 늘어났다. 게다가 빈집의 지역적 분포를 보면 빈집이 전국 차원의 문제로 확대되고 있다는 것도 우려스럽다.
국토연구원이 올해 초 공개한 보고서 ‘방치된 주거자원, 빈집 문제 해결을 위한 정책 개선방안’에 따르면 2015년 기준 빈집수가 1620채 이상인 읍면동 지역은 전국에서 4곳에 불과했다. 하지만 2018년에는 무려 95곳으로 24배 증가했다. 이 가운데에는 서울을 포함한 수도권 지역도 다수 포함돼 있다.
통계청 자료에서도 이는 확인된다. 지난해 11월1일 기준 서울을 포함한 수도권지역의 빈집은 43만5000채로 전체의 28.8%를 차지했다. 또 서울과 세종시를 포함한 특·광역시의 빈집도 42만8000채로 전체의 28.3%나 됐다.
황재성 기자 jsonhng@donga.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