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일 서울시청 앞 광장에 마련된 임시선별진료소를 찾은 시민들이 코로나19 검사를 받기 위해 길게 줄지어 서 있다. /뉴스1 © News1
감염병 확산 차단을 위해 정부가 방역대책을 강화한 가운데 학원이 ‘방역패스’ 적용 대상에 포함되면서 학원가에서 반발 조짐이 일고 있다.
백신 부작용 우려에 접종을 꺼려 온 학부모들 사이에선 학원을 보낼 수 없게 되면 고액 과외를 시켜야 하냐는 불만이 나오기도 한다.
3일 방역당국에 따르면, 미접종자 보호 강화를 위해 오는 6일부터 일주일간 계도기간을 거쳐 방역패스가 적용되는 실내 다중이용시설이 확대된다.
정부는 식당·카페, PC방, 도서관, 박물관·미술관·과학관뿐 아니라 학원과 독서실·스터디카페 등에서도 의무적으로 방역패스를 시행하도록 했다.
학원과 독서실·스터디카페 등이 의무적용 시설로 포함된 것은 내년 신학기 전면등교 원칙 적용을 앞두고 최대한 소아·청소년 백신접종률을 높이겠다는 뜻으로 풀이된다.
정부는 방역패스 적용 대상 제외 연령도 기존 만 18세 이하에서 11세 이하로 조정했다.
소아·청소년 방역패스가 시행되는 내년 2월1일부터는 초등학교 6학년~고교 3학년 중 미접종자나 48시간 이내 PCR(유전자증폭) 검사 음성확인서가 없는 학생은 학원 이용이 불가능해지는 셈이다.
학원장들이 모여 있는 한 온라인 카페에서 한 이용자는 “방역패스가 도입되는 학생들조차 차별을 당할 것”이라며 “백신 미접종자는 학원을 관둘 수밖에 없을 테고, 피해는 원장이 떠안을 수밖에 없다”고 성토했다.
이미 중·대형 학원 중에서는 벌써 미접종자를 위한 원격강의 시스템을 갖추기 위한 채비를 서두르고 있는 곳도 적지 않다.
하지만 오프라인 수업과 함께 온라인 수업을 병행하기 어려운 소형 학원은 발만 동동 구를 수밖에 없는 상황이다.
서울 송파구에서 학원을 운영하는 김모씨는 “백신을 맞지 않은 학생은 교육을 받지 말라는 것은 말도 안 된다”며 “이런 식으로 하는 것은 학원 운영을 하지 말라는 것”이라고 지적했다.
서울에서 초등학생과 중학생 자녀를 키우는 학부모 김모씨(46)는 “부작용 우려가 있어 백신을 맞도록 하기가 꺼려지는데 집에서 공부를 시키거나 학원에 온라인 수업을 요청해야 할 것 같다”고 말했다.
한편에서는 학원에 방역패스를 도입하면서 사교육 수요가 1대 1이나 소수인원으로 진행되는 고액 과외로 이어질 것이라는 우려도 적지 않다.
학부모들이 모인 한 온라인 카페에서는 “과외를 알아보려고 한다”거나 “과외 구하는 것도 어려워지겠다” 같은 의견도 이어지고 있다.
학원단체에서도 반발이 커지면서 교육당국과 갈등이 불가피할 전망이다.
이유원 한국학원총연합회 회장은 “말도 안 되는 고무줄식 행정으로 피해를 보는 말도 안 되는 상황”이라며 “어떤 식으로 대응할 것인지 논의할 것”이라고 말했다.
한편 정종철 교육부 차관은 이날 오후 정부세종청사에서 한국학원총연합회 회장단과 비대면 간담회를 열고 학원 방역 강화 방안에 대해 협조를 요청했다.
정 차관은 “학원 방역패스 적용은 학생 안전을 지키기 위한 불가피한 방역조치”라고 말했다.
(서울=뉴스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