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음 정부에도 이어지는 한강·낙동강 취·양수장 개선 사업이 ‘보(洑) 해체’로 이어질 것이란 야권의 지적에 환경 당국은 하천 수위가 낮아지는 비상상황을 대비하기 위해 취수시설을 개선하기 위한 사업이라고 해명했다.
환경부 4대강 조사·평가단은 7일 설명자료를 통해 “한강·낙동강 보 영향 구간 취·양수장 시설 개선 사업은 기후변화, 재해, 수질오염사고 등으로 하천 수위가 저하되는 비상상황에 대비해 안정적인 취·양수를 위해 시행하는 것”이라며 “보 상시 개방·해체와 같은 처리 방안 결정과는 무관하다”고 밝혔다.
국민의힘 김성원 의원실이 환경부와 농림축산식품부 등에서 제출받은 자료에 따르면 4대강 보와 관련된 예산은 1조원이 넘는다. 구체적으로 ▲4대강 모니터링 477억원 ▲보 개방 피해 보상 및 지하수 대책 869억원 ▲4대강 조사·평가단 운영비 214억원 ▲취·양수장 개선 9150억원 등으로 알려졌다.
환경부는 지난 2월 한강·낙동강 유역물관리위원회에서 개선 사업 추진이 의결됐고, 지자체·민간 등 시설관리자 동의를 거쳤다고 설명했다.
한강·낙동강 보 영향 구간에 위치한 취·양수장 취수구 대부분은 하천 최저 수위보다 높게 설치돼 있다. 즉, 보가 닫혀 있어 하천 수위가 높을 때만 물을 끌어 올릴 수 있는 상황이다.
이 때문에 홍수나 수질오염 시 보를 개방하면 하천 수위가 낮아져 주변 지역에 물을 제때 공급할 수 없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4대강 조사·평가단은 “국내외 취·양수장 설계기준에 따르면 하천 갈수 시에도 안정적으로 취수할 수 있도록 규정하고 있다”면서도 “현재 보 구간 취·양수장은 그에 못 미치는 상황”이라고 설명했다.
특히 “2018년 감사원에서 4대강 사업 추진 시 보 수위 운영계획을 수립하지 않고 취·양수장을 이설 보강하면서 보 수위가 낮아지면 물 이용 제약이 초래된다는 지적이 나왔다”고 덧붙였다.
4대강 조사·평가단은 아울러 “개선 대상시설 대부분은 노후화해 이번 시설 개선 사업을 통해 취·양수 안정성이 더욱 향상될 예정”이라고 밝혔다.
시설 개선에 들어가는 취·양수 시설 147곳 중 106곳(72%)은 설치한 지 20년 이상 지난 것으로 나타났다. 절반 이상인 75곳(51%)은 30년 이상 된 곳으로, 비율은 지난해 5월 기준 30년 이상 경과 사회기반시설 비율 평균 18%를 웃돈다.
[서울=뉴시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