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신규 확진 환자가 사흘째 7천명대를 기록한 10일 오후 서울 마포구 월드컵공원 평화의광장 내 코로나19 선별검사소에서 시민들이 검사를 기다리고 있다. 서울시는 Δ창동역 공영주차장(동북) Δ잠실종합운동장 제2주차장(동남) Δ월드컵공원 평화광장(서북) Δ목동운동장 남문 주차장(서남) 4개소를 설치·운영하며 4개 검사소 모두 평일부터 주말까지 오후 1시부터 오후 9시까지 운영할 예정이다. 2021.12.10/뉴스1 © News1
백신 접종 완료율 70% 이상이면 우리 사회에 집단면역이 생기고 마스크도 벗을 수 있으리라 생각했다. 하지만 40일이 지난 지금 모든 게 엉망이 됐다.
1000~2000명대이던 하루 신규 확진자 수는 7000명대로 올라섰고 조만간 1만명을 넘어설 기세다. 위드코로나 이전까지 3000명에 못미치던 누적 사망자는 4000명을 넘어섰다. 의료장비에 생명을 의존해야 하는 위중증 환자는 800명대로 연일 최다 기록을 경신하고 있다.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신규 확진 환자가 사흘째 7천명대를 기록한 10일 오후 서울 마포구 월드컵공원 평화의광장 내 코로나19 선별검사소에서 시민들이 검사를 받고 있다. 서울시는 Δ창동역 공영주차장(동북) Δ잠실종합운동장 제2주차장(동남) Δ월드컵공원 평화광장(서북) Δ목동운동장 남문 주차장(서남) 4개소를 설치·운영하며 4개 검사소 모두 평일부터 주말까지 오후 1시부터 오후 9시까지 운영할 예정이다. 2021.12.10/뉴스1 © News1
K방역이 위기라는 평가가 나오는 이유는 일상회복 이후 걷잡을 수 없는 속도로 확진자가 쏟아지고 있어서다. 지난해 1월 20일 국내 첫 확진자가 발생한 뒤 누적 10만명을 넘어서기까지 429일이 걸렸다.
그런데 누적 40만명에서 50만명으로 가는 데는 고작 23일 밖에 걸리지 않았다. 상상을 초월하는 속도로 신규 확진자가 쏟아진 셈이다.
사망자도 예외가 아니다. 10일 0시 기준 누적 사망자는 4130명인데, 그중 약 30%가 최근 한 달 동안 발생했다. 최근 일주일 동안 하루 56명이 목숨을 잃었으며, 이 기간 총 394명이 숨졌다. 최근 2주간 사망자는 ‘52→56→32→44→35→47→34→70→43→41→64→63→57→53명’ 흐름을 보였다.
현재 4차유행은 델타(인도) 변이가 이끌고 있지만, 점차 오미크론 변이로 대체할 전망이다. 두 변이가 섞여 유행하면, 가공할 만한 전파력을 보일 수밖에 없다.
감염재생산지수가 1 이하로 떨어져야 감소세 전환을 기대할 수 있는데, 상황은 정반대다. 사정이 이렇다 보니 이르면 다음 주에 일일 확진자가 1만명대에, 내년 상반기엔 2만명이 넘을 것이란 예측이 나온다.
정재훈 가천대의대 예방의학과 교수는 오는 2022년 3월부터 8월까지 하루 최대 2만5000명이 발생할 것으로 예측했다. 코로나19 바이러스 재생산지수 실측치를 활용한 모델링 결과였다.
◇12~17세 1차접종 51%…방역당국, 특단의 대책까지 검토
백신 접종률을 끌어올리려면 갈 길이 멀지만, 12~17세 자녀를 둔 부모들 사이에서는 백신 접종을 꺼리는 경우가 많다. 이상반응이나 부작용이 발생할 경우 자녀 건강에 치명적이기 때문이다.
신규 확진자가 쏟아지면서 국내 의료체계에도 과부하가 걸렸다. 10일 코로나19 위중증 환자는 852명으로, 지난 8일 840명으로 800명선을 돌파한 후 사흘째 800명대 중반을 유지하고 있다.
위중증 환자가 증가함에 따라 전국 병상 가동률도 80%에 육박했다. 전날(9일) 오후 5시 기준 전국의 코로나19 중환자 병상가동률은 79.3%로, 1255개 중 955개 병상이 가동중이다. 수치만 본다면, 더 이상 외부환자를 받을 수 없는 상태인 ‘풀베드(full bed)’의 기준인 가동률 80%를 목전에 두고있는 셈이다.
특히 수도권은 전체 중환자 병상 806개 중 688개가 찼으며, 가동률은 85.4%로 집계됐다. 지역별로 서울 87.8%(361개 중 317개), 인천 89.9%(79개 중 71개) 가동률로 90%에 육박했고, 경기는 82%(366개 중 300개)로 병상 확보에도 80%를 넘어섰다.
방역 상황이 갈수록 나빠지자 정부는 특단의 대책도 검토하겠다는 입장이다. 특단의 대책은 사적모임 인원을 축소하고 다중이용시설 영업시간을 다시 제한하는 방식이다. 11월 이전 사회적 거리두기로 돌아가는 것이다. 감염병 전문가들은 정부 방역대책이 너무 늦었다는 지적을 내놨다.
천은미 이대목동병원 감염내과 교수는 “지금 수준의 방역 대책으로는 확산세를 막기 쉽지 않다”며 “보다 강력한 방역수칙으로 개인 간 접촉을 줄여야 한다”고 강조했다.
(서울=뉴스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