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재후 엄홍길휴먼재단 이사장이 집 근처인 서울 정릉 북한산을 오르고 있다. 여든이 넘은 그는 50년 넘게 산을 오르며 건강하고 즐거운 노년을 만들어가고 있다. 이훈구 기자 ufo@donga.com
양종구 논설위원
이렇다 할 운동을 하지 않던 1969년 상사의 권유로 본격적으로 산을 올랐다. 그 이후 산은 그의 인생에서 중요한 부분을 차지했다. 여든이 넘은 나이에도 등산으로 건강하고 즐거운 노년을 만들어가고 있다. 이재후 엄홍길휴먼재단 이사장(81)은 “산에서 많이 배웠고 행복했다”고 말한다.
“대전지방법원 판사 시절에 당시 법원장이었던 고 이일규 전 대법원장께서 지리산에 가자고 했다. 뭐 가끔 뒷산 정도 오르는 수준이었는데 상사가 가자고 하니 따라 나섰다. 천왕봉까지 올랐다. 힘들 줄 알았는데 전혀 힘들지 않았다. 해냈다는 성취감도 느꼈다. 그때 산의 매력을 처음 알았다.”
이듬해 서울로 올라온 이 이사장은 가끔 산행을 하긴 했지만 마니아 수준은 아니었다. 주로 테니스를 치며 건강을 다졌다. 그가 본격적으로 산을 타게 된 것은 서울고 동문 산악회에 가입한 1970년대 후반부터. 판사 생활을 접고 김앤장법률사무소 대표변호사를 맡으면서 서울고 산악회, 서울법대 동기들과 전국의 명산들을 오르기 시작했다. 아프리카 킬리만자로, 네팔 히말라야 등 해외 트레킹도 다녀왔다.
이 이사장은 20세 무렵부터 60년 넘게 북한산 자락인 서울 정릉에 살고 있어 틈만 나면 산을 올랐다. 법조계에선 ‘등산 고수’로 통한다. 2008년 히말라야 16좌를 오른 엄홍길 대장(61)을 만나면서 새로운 길도 함께 개척하고 있다. 엄 대장이 “이제 산에서 내려와 인생의 16좌를 오르겠다”며 휴먼재단을 만들겠다고 이 이사장을 찾은 것이다. 엄 대장은 평소 산을 좋아하고 히말라야도 여러 차례 다녀온 그에게 이사장을 맡아달라고 했다. 엄 대장은 어려운 이웃에게 희망과 사랑을 나눠주자는 취지로 휴먼재단을 설립했다. 재단의 중점 사업이 네팔의 아이들을 위해 학교를 지어주는 사업이다. 이사장도 취지가 너무 좋아 흔쾌히 동의했다. 그는 “엄 대장이 주도적으로 활동하고 난 옆에서 보좌하는 역할”이라고 했다.
지난해와 올해는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 19) 탓으로 못 갔지만 이 이사장도 매년 네팔에서 열리는 학교 착공식과 준공식에 참여했다. 히말라야 4000m 고지까지 4박 5일 올라야 하는 힘겨운 일정이지만 이 이사장은 매번 엄 대장과 함께했다. 엄 대장은 “한국 나이 80세인 2019년에도 히말라야를 거뜬히 오르셨다”고 했다. 이 이사장은 “네팔 4000m 고지에 학교를 세워줬을 때 아이들이 너무 고마워하는 모습을 보고 감동했다. 엄 대장이 참 훌륭한 일을 하고 있다는 것을 느꼈다”고 했다. 이 이사장과 엄 대장은 14년째 찰떡궁합을 과시하며 재단을 이끌고 있다.
이 이사장은 지금도 매달 진행하는 휴먼재단 정기산행 때 북한산 백운대까지 다녀오는 4∼5시간 일정의 산행도 무리 없이 소화하고 있다. 이런 강철 체력의 원동력이 걷기다. 그는 특별한 일 아니면 걸어서 다닌다. 아직도 매일 법률사무소로 출근하는 그는 헬스클럽까지 왕복 2km도 걸어 다닌다. 헬스클럽에서도 걷고 웨이트트레이닝으로 근육도 키우고 있다. 정기 산행은 재단 혹은 지인들과 한 달에 1, 2차례 한다. 집 근처 북한산을 가장 많이 가고, 수락산 청계산 천마산 등 수도권 산을 자주 오른다.
이 이사장은 산에서 정직을 배웠다. 그는 “산은 보이는 곳에 항상 있다. 아무리 꾀를 써도 자신의 힘으로만 올라야 한다. 산은 정직하다. 법조인 최고의 덕목도 정직이다. 있는 그대로 보고 따라야 한다. 산은 정복하는 게 아니라 순응하는 것이다”고 말했다.
“사람이 나이 들어 아프고 걷지 못한다는 게 얼마나 불행한 일인가. 난 다행히 아직 걸을 수 있다. 특별히 관리한다기보다는 걸어 다니고 산에도 가니 건강이 유지된다. 걸을 수 있을 때까지 산에 갈 것이다.”
양종구 논설위원 yjongk@donga.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