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트렌드 생활정보 International edition 매체

반도체 직접 만들고… 범용칩 하나로 여러 기능 사용

입력 | 2021-12-28 03:00:00

완성차업계 공급난 해법 백태
수직 계열화로 의존도 낮추고, 소프트웨어 재설계도 착수




올 한 해 차량용 반도체 수급난을 겪은 완성차 업체와 반도체 기업들이 주문 및 생산 방식을 바꾸거나 차세대 반도체로의 전환을 가속화하는 등 체질 개선에 나서고 있다.

27일 한국자동차연구원이 발표한 ‘수급난이 촉발한 차 반도체 생태계 변화’ 보고서에 따르면 차량용 반도체 수급난 이후 차량용 반도체 주문량은 내년 전 세계 생산 능력을 이미 20∼30% 초과한 상태다. 차량용 반도체의 평균 배송 기간도 올해 10월 22.9주에서 11월 23.3주로 증가했다. 특히 전력관리반도체(PMIC)와 마이크로컨트롤러(MCU) 칩에서 배송 지연이 두드러지고 있다. 현대차·기아도 현재 MCU 반도체 부족으로 생산 차질을 겪고 있다.

이에 완성차 업체들은 반도체 수급난 장기화를 대비해 반도체 공급망 관리에 변화를 주고 있다. 기술 협력과 자체 생산, 반도체 수급·공급망 관리 방식 전환을 시작한 것이다.

미국 포드는 반도체 업체인 글로벌파운드리와 전략적 협력으로 생산 기술 등을 업체 내부로 수직 통합한다는 계획이다. 제너럴모터스(GM)는 NXP, 퀄컴, TSMC 등 차량용 반도체 회사와 협력하기로 했다. 현대차와 도요타, 테슬라, 폭스바겐 등은 아예 일부 차량용 반도체를 직접 생산하는 방안도 추진하고 있다. 완성차 기업들은 또 협력사 의존도를 줄이고 핵심 부품을 직접 챙기는 방식으로 공급망 관리 변화를 추진 중이다.

하나의 반도체를 다양한 기능으로 사용할 수 있는 범용 칩 개발에도 나서고 있다. 테슬라나 폭스바겐, 닛산 등은 반도체 소프트웨어 재설계를 통해 범용으로 사용 가능한 반도체 칩 개발을 하고 있다. GM은 현재 사용 중인 반도체를 3개 제품군으로 통합할 계획이다.

반도체 업계 내부에도 변화가 나타나고 있다. 업체들은 차량용 반도체 부족 현상에 따른 매출 증가에서 얻은 수익을 실리콘카바이드(SiC) 반도체와 질화갈륨(GaN) 반도체 등 차세대 전력 반도체 사업에 투자하고 있다.

다만 수급 불균형이 심각한 MCU 등의 공정의 경우 위탁 생산을 강화하는 ‘팹라이트’ 전략을 구사하고 있다. 부가가치가 높지 않은 기존의 차량용 반도체 생산을 직접 늘리는 것보다 외주를 주는 것이 비용 절감에 더 도움이 되기 때문이다.

장홍창 한국자동차연구원 연구전략본부 선임연구원은 “차세대 반도체로의 본격적인 전환에 발맞춰 나가야 한다”며 “반도체 칩 개수 축소 및 범용 칩 등의 활용 트렌드가 확산될 것으로 보이는 만큼 관련 역량을 강화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변종국 기자 bjk@donga.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