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트렌드 생활정보 International edition 매체

5·18 발포명령자와 행불자 암매장 사건의 진실 ‘윤곽’

입력 | 2021-12-29 03:00:00

5·18진상규명조사위 출범 2주년
“희생자 시신 수습-매장 등 관여”
軍 시체처리팀 자료-진술 확보




5·18민주화운동 진실 규명의 ‘마지막 두 가지 숙제’로 평가받고 있는 발포 명령자와 암매장의 진실을 밝히기 위한 작업이 성과를 내고 있다.

5·18민주화운동진상규명조사위원회는 28일 5·18단체 회원들을 대상으로 출범 2주년 성과 설명회를 가졌다. 조진태 5·18기념재단 상임이사는 “위원회가 2년 동안 5·18 당시 각종 기록물과 계엄군 진술 등 기초조사를 끝냈지만 진실 규명에 아쉬운 점이 있다”며 “발포 명령자와 행방불명자 확인 등 진실 규명에 가시적 성과가 나올 수 있도록 노력해 주기 바란다”고 말했다.

위원회는 발포 명령 체계 실체가 확인되고 있다고 설명했다. 송선태 위원장은 “발포 책임자의 고백을 듣지 못했지만 발포 경위 등을 밝히기 위해 국내외 기록물과 미발표 자료, 계엄군 180여 명의 진술 등을 확보했다”고 말했다. 이어 “발포 명령자와 관련된 결정적 증거를 찾지 못할 경우 각종 정보를 빅데이터화한 사회적 관계망 분석(SNA)으로 발포 명령자를 특정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SNA는 9·11테러 당시 미국 중앙정보국(CIA)이 주범을 추적했던 프로그램으로 경찰청도 2015년 도입했다.

5·18 당시 희생자 암매장에 대한 진실도 드러나고 있다. 위원회는 5·18 직후인 1980년 6월 10일 11공수부대 4개 팀 6명으로 구성된 시체처리팀이 광주 동구 주남마을로 내려와 5·18 희생자 집단 암매장 장소를 전투교육사령부 소령에게 확인해 줬다는 사실을 밝혀냈다.

위원회는 3공수부대 시체처리팀은 1980년 6월 초순 다른 5·18 희생자 집단 암매장 장소인 광주교도소에 내려와 수습에 관여했다는 정황도 확보했다. 5·18 당시 광주교도소에 있었던 계엄군 54명은 위원회에 “광주교도소에 최소 시민 50명 이상이 암매장됐다”고 했다. 광주교도소에서 5·18 이후 발견된 시신은 총 11구이고 각종 군 기록에는 시신 27구를 암매장했다고 적혀 있었다. 일부 계엄군은 “광주교도소에 매장된 시신의 사진을 찍고 지문을 채취했다”고 했다.

이 밖에 또 다른 5·18 희생자 암매장 장소인 광주 남구 효덕동에도 7공수부대와 11공수부대 시체처리팀이 시신 수습에 관여한 증거가 있다. 정부가 현재 인정한 5·18 행방불명자는 84명이다. 시체처리팀은 1, 2년 넘게 보안사령부의 감시를 받았다. 5·18 희생자 암매장 장소를 메모로 남겨 놓은 군인은 보안사의 조사를 받는 등 암매장 전체 과정이 윤곽을 드러내고 있다.

허연식 위원회 조사2과장은 “시체처리팀은 암매장 장소를 확인하는 역할을 했고 수습, 재처리 등은 보안사가 관여했다”며 “1982년 6월 보안사가 암매장과 관련된 자료를 폐기한 것을 확인하고 조사하고 있다”고 말했다.

이형주 기자 peneye09@donga.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