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진갑·역사문화콘텐츠연구원장
1992년 지방자치제가 부활하면서 지방자치시대가 개막됐다. 지방자치시대는 주민이 자치단체와 함께 지역의 문제를 스스로 찾아 해결하는 시대다. 지역에서 지역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지역 연구가 필요하다. 그래서 1990년대에 지역학 연구가 활성화되기 시작했다. 광복 후 한국의 지역학 연구는 지방문화원이 향토사학자와 함께 향토문화를 조사, 발굴, 연구하면서 시작됐다. 지방문화원의 향토문화 연구는 외롭고 힘들게 진행됐으나 이 덕분에 해당 지역이 아니면 알 수 없는 자료들이 멸실되지 않고 지금까지 기록되고 보존될 수 있었다.
1990년대 말 국가 차원의 정보화 사업이 진행되면서 방대한 자료가 ‘국가지식포털’ ‘한국 역사정보통합시스템’ 같은 아카이브로 구축되어 인터넷을 통해 서비스되기 시작했다. 그러나 지역에서 생산된 자료들은 제외됐다. 이 자료에 대한 무지와 무관심이 초래한 결과였다. 지역 연구를 위해 필요한 1차 자료는 지역에서 생산한 원천자료다. 향토사학자들이 발로 뛰면서 현장에서 수집한 자료다. 지역주민의 일상생활, 지역주민이 겪은 역사, 외부에 알려지지 않은 지역주민에게만 구전으로 전해지는 사실과 풍부한 이야기가 담겨 있다. 검색되지 않는 자료는 존재하지 않는 자료와 마찬가지인 시대이다. 지방문화원을 방문해야만 볼 수 있는 자료는 사장(死藏)된 자료와 다름없다.
지역에서 생산된 자료를 살린 것은 2017년대부터 한국문화원연합회가 구축하고 있는 ‘지역N문화’ 포털이다. 여기에 지방에서 생산된 문화원 원천콘텐츠가 수록돼 있다. 연간 이용자가 200만 명 선까지 꾸준히 증가하고 있다고 하니 그동안 얼마나 많은 사람들이 지역의 원천자료에 목말라 했는지 짐작이 된다. 그러나 갈 길은 아직 멀다. 2021년 현재까지 여기에 탑재된 자료는 지방문화원이 소장한 자료 130만여 건의 9%에도 못 미치는 8만8000여 건에 불과하다.
강진갑·역사문화콘텐츠연구원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