포항제철소 1고로 48년만에 ‘종풍’
29일 경북 포항제철소 1고로(용광로) 작업자가 생산 중단(종풍) 직전 마지막 쇳물을 생산하고 있다. 1973년 6월 8일 첫 쇳물을 뿜어낸 뒤 48년 6개월간 한국 경제 성장의 산파 역할을 해온 1고로는 이날을 끝으로 역사 속으로 사라지게 됐다. 왼쪽 작은 사진은 1973년 박태준 전 포스코 명예회장이 1고로에 처음 불을 붙이는 화입식 장면. 포스코 제공
포스코는 29일 경북 포항제철소에서 1고로 종풍식을 가졌다. 김학동 포스코그룹 부회장(철강부문장)은 “1973년 6월 9일 첫 출선 당시 고 박태준 명예회장이 직원들과 함께 1고로 앞에서 만세를 외치며 눈물을 흘리던 모습이 아직도 선한데 벌써 종풍을 맞다니 만감이 교차한다”고 했다.
1고로 내부 용적은 1660m³로 최근 준공되는 5500m³ 이상의 초대형 고로에 비교해 조업 여건이 불리하다. 그러나 철저한 설비관리와 고도의 조업기술로 연간 100만 t 이상의 쇳물을 꾸준히 생산하며 맏형 노릇을 해왔다고 포스코 측은 설명했다.
포스코는 1고로에서의 경험을 토대로 포항제철소 및 광양제철소에 9개 고로를 운영하며 연간 4000만 t 이상의 조강(쇳물) 생산능력을 갖추고 있다. 생산능력 기준 글로벌 5위 철강사다. 2000년대 중반 부스러기 형태의 철광석에서 곧바로 쇳물을 생산해 원가와 오염물질 배출을 낮춘 파이넥스 공법을 세계 최초로 개발했다. 최근엔 석탄 대신 수소를 활용해 쇳물을 생산하는 수소환원제철 공법 개발로 탄소중립 시대에 대응하고 있다.
1고로는 내부를 완전히 냉각하고 철거 작업 등을 거쳐 ‘포항1고로 뮤지엄’으로 개조될 예정이다. 1고로가 퇴역하지만 포스코 생산량은 큰 변화가 없을 것으로 전망된다. 포스코 관계자는 “1고로 종풍에 따라 감소하는 쇳물 생산량을 만회하기 위해 남아 있는 8개 고로의 연료 및 원료 배합비 개선을 추진하는 등 운영 효율화에 나설 것”이라고 했다.
신동진 기자 shine@donga.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