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트렌드 생활정보 International edition 매체

조선시대 해시계 ‘앙부일구’ 3점 보물 된다

입력 | 2021-12-30 09:45:00


조선 시대 천문학 기구인 해시계 ‘앙부일구’가 보물로 지정된다. 문화재청은 ‘앙부일구’ 3점을 비롯해 조선 시대 전적 및 불교조각 등 총 5건에 대해 국가지정문화재로 30일 지정 예고했다.

이번에 지정 예고된 앙부일구는 총 3점으로 각각 국립고궁박물관, 국립경주박물관, 성신여대박물관이 소장 중이다. 이 중 국립고궁박물관 소장본은 지난해 미국에서 돌아온 환수문화재다.

앙부일구는 솥이 하늘을 바라보는 듯한 모습을 한 해시계라는 의미이다. 1434년(세종 16) 장영실·이천·이순지 등이 왕명에 따라 처음 만들었으며, 그 해 10월 종묘 앞과 혜정교에 각 1대씩 설치했다. 조선 말기까지 다양한 형태로 제작돼 궁궐과 관공서에 널리 보급됐다.

조선 초기에 제작된 앙부일구는 현재까지 알려진 사례가 없다. 지금 남아있는 앙부일구의 경우, 겉면에 ‘북극고 37도 39분 15초’라고 새겨진 명문의 위도 값이 1713년(숙종 39) 이후 처음 사용된 사실이 ‘국조역상고’를 통해 확인되므로 제작시기 역시 1713년 이후로 추정된다.

3개의 앙부일구는 ▲제작기법에서 시반의 시각선과 절기선, 지평면의 절기글자와 24방향 글자에 표현된 은상감 기법과 영침, 받침대에 새겨진 용무늬, 구름장식, 거북머리 장식 등이 뛰어난 조형미를 보이고 있어 숙련된 기술자가 제작한 최상급의 앙부일구로 판단되는 점 ▲태양의 그림자로 시간 뿐만 아니라 날짜를 함께 파악할 수 있도록 해 독창성이 뛰어나다는 점 ▲조선시대 천문과학기술의 발전과 애민정신을 엿볼 수 있는 대표적 과학문화재라는 점에서 보물로서 지정가치가 충분하다고 문화재청은 설명했다.

‘자치통감 권266~270’은 1434년(세종 16) 편찬에 착수해 1436년(세종 18)에 완료된 총294권 가운데 권266~270의 1책(5권)에 해당하는 서책이다.

주자소에서 초주갑인자로 간행된 금속활자본으로, 워낙 수량이 많아 완질이 확인되지 않고 있다. 유사한 판본이 국립중앙도서관, 서울대 규장각한국학연구원 등 여러 곳에 소장돼 있으나, 전해지는 내용과 수량이 많지 않아 귀중한 자료적 가치를 갖고 있다.

‘경주 분황사 금동약사여래입상’은 높이 3.4미터에 달하는 대형 불상으로, 조선 후기의 유일하고 규모가 가장 큰 금동불 입상이다. 1998년 분황사 보광전 해체 수리과정 중 건축 부재에서 ‘분황사상량기(1616년)’와 ‘부동명활성하분황사중창문(1680년)’ 묵서가 확인돼 이 약사여래입상이 1609년(광해군 1) 5360근의 동을 모아 제작된 사실이 밝혀졌다.

1616년과 1680년에 작성된 두 건의 상량문을 통해 1609년에 동으로 불상을 조성했다는 경위와 불상의 명칭까지 분명히 밝히고 있어 이 시기 불상 연구에 귀중한 자료를 제공한다는 점에서 보물로 지정해 보존할 가치가 높다.

문화재청은 ‘앙부일구’ 등 5건에 대해 30일간의 예고 기간 중 각계의 의견을 수렴·검토하고 문화재위원회의 심의를 거쳐 국가지정문화재로 지정할 예정이다.


[서울=뉴시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