임채영 혁신원자력연구소장 인터뷰
“새해에는 우리 손으로 개발한 소형모듈원자로(SMR)의 설계와 기술이 캐나다에서 실증 작업에 들어갑니다. 내년은 또 한국이 우주 원자력 기술 개발에 나서는 원년이 되리라 기대합니다.”
21일 대전 유성구 소재 한국원자력연구원에서 만난 임채영 혁신원자력시스템연구소장은 “20여 년간 축적한 국산 SMR 기술이 내년에 의미 있는 결실을 맺을 것“이라며 이같이 말했다. 발전용량 300메가와트e(MWe) 이하의 소규모 원자로인 SMR은 출력 조절이 용이하고 안전성도 높아 최근 차세대 원자로 기술로 급부상하고 있다. 5월 한미 정상회담에서도 양국간 원전 협력 합의에도 SMR이 포함됐다.
임 소장은 “올 한해 동안 국내외에서 SMR에 대한 관심이 급증했다”며 “한국을 비롯해 미국과 러시아, 중국 등이 70여종의 SMR을 현재 개발 중”이라고 설명했다.
새해에는 SMR 기술을 바탕으로 우주용 원자로 개발도 착수한다는 목표도 세웠다. 임 소장은 “이미 소규모 연구과제를 시작했고 후속 연구를 위한 기획작업을 진행 중”이라며 “산소가 없는 우주환경에서 에너지원을 안정적으로 공급하는 우주 원자력 연구의 원년이 되기를 기대하고 있다”고 말했다. 특히 “유인 달탐사 ‘아르테미스’에 한국이 참여하는 만큼 다양한 우주 기술을 확보하는 게 필요한데 우주 원자력은 중요한 옵션이 될 수 있다”고 강조했다.
SMR이 탄소중립에서도 중요한 역할을 할 수 있을 것으로 임 소장은 보고 있다. 산업계 공정에서 필요한 열원을 화석연료가 아닌 SMR이 공급할 수 있기 때문이다. 그는 “기존 경수용 원자로는 물의 온도를 높이는 데 어려움이 있어 300도 정도가 최대치인데 물을 냉각재로 쓰지 않는 SMR은 500~1000도 사이의 열을 중화학 산업에 공급할 수 있다”며 “산업계에서 배출되는 탄소를 줄일 수 있는 것”이라고 설명했다.
저탄소 수소환원제철 체제로 전환을 모색 중인 국내 철강산업에 공급할 수소를 생산하는 데도 SMR이 활용될 수 있다. 전기 대신 고온의 열을 가해 물을 수소로 분리하는 ‘고온 수전해’ 기술에 필요한 열을 SMR이 공급할 수 있기 때문이다.
임 소장은 “환경 조건에 크게 좌우되는 태양광 등 재생에너지를 SMR 기술이 보완할 수 있다”며 “탄소중립을 실현하고 차세대 에너지원으로 가능성이 큰 SMR을 산업의 반석으로 올려놓는 데 최선을 다할 것”이라고 밝혔다.
김민수 동아사이언스 기자 reborn@donga.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