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1
눈이 온다는 소식에 설레는 이들도 많겠지만 출근길이 걱정인 직장인들은 마냥 달갑지만은 않다. 폭설이 싫은 건 기상청도 마찬가지다. 부정확한 예보 탓에 뜻하지 않게 ‘양치기 소년’이 되기 일쑤여서다.
예보관들은 각종 기상 예측 중 가장 어려운 게 적설량 예측이라고 설명한다. 지난해 크리스마스 강원 지역을 덮쳤던 폭설이 좋은 예다. 당초 기상청은 12월 24, 25일 강원 영동지역에 최대 20cm의 눈이 내릴 것으로 예보했다. 25일에는 “최대 30cm 안팎”이라고 했다. 하지만 실제 적설량은 속초 55.9cm, 주문진 42.7cm 등에 달했다. 눈 예보가 어려운 이유를 기상청을 통해 알아봤다.
① 겨울 대기 관측이 더 어려워
여름 기온이 30도일 때 지상의 건조한 공기 1kg에는 최대 30g의 수증기가 담긴다. 하지만 겨울에는 대기가 담을 수 있는 수증기의 양이 크게 줄어든다. 영하 15도가 되면 공기 1kg에 1g의 수증기만 담긴다. 여름의 30분의 1에 불과하다.② 알쏭달쏭 눈일까? 비일까?
지상에 눈이 올지 비가 올지 예측하기 어려운 때도 많다. 대기 상층과 하층의 기온 구조에 따라 눈이 비가 될 수도, 비가 눈이 될 수도 있다. 대개 지상 부근 기온이 영상이면 눈이 내리다가도 녹아서 비로 바뀐다. 하지만 대기 온도가 영상으로 오르는 지점이 지상 가까이에 형성되면 그대로 눈으로 내린다. 이를 판가름해야 정확한 예보를 할 수 있다.③ 눈이 쌓이는지도 변수 많아
지상 기온이 영하라면 눈은 대개 쌓인다. 하지만 낮에 지표면이 가열된 상태에서는 내린 눈이 금방 녹아버린다. 설령 지상 기온이 영상이더라도 눈이 덜 녹은 상태에서 또 눈이 내리면 쌓이는 경우도 적지 않다. 실제 지상 기온이 2도인데 눈이 쌓이는 경우도 있었다. 이런 변수를 모두 감안하기 어려워 적설량 예보에서 오차가 많이 발생한다.④ 강수량 같아도 적설량이 다르다
적설량을 예측할 때는 1mm의 강수량이 몇 cm의 적설로 나타날지를 보여 주는 비율인 ‘수상당량비’ 개념을 사용한다. 통상 강수량 1mm로 예측된 눈구름은 1cm의 눈이 내리는 걸로 본다. 하지만 구름 형태 등에 따라 실제 적설량이 천차만별이다. 강수량 0.5mm인데 적설량이 3cm를 넘거나, 5mm 강수량에서 1cm 이하 적설량을 기록하기도 한다.박성민 기자 min@donga.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