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한이 새해 첫 날 일어난 북한이탈주민 월북에 대해 별다른 반응을 보이지 않고 있다. 다만 지난 2020년 월북 사건 발생 뒤 관련 보도를 내놓았던 전례가 있는 만큼 향후 관련 언급 가능성이 주목된다.
4일 북한 매체와 선전매체들은 대체로 지난해 말 열린 당 중앙위원회 8기 4차 전원회의 결정 관철을 독려하고 새해 경제 사업 관련 동향을 전하면서 분위기를 고조하는 내용 등으로 이날 보도를 구성했다.
매체 보도는 물론 당국 간 소통에서도 월북 관련 북한 측 별다른 반응은 나타나지 않았다고 한다.
앞서 북한은 지난 2020년 7월 월북 발생 때에는 “개성시에서 악성 비루스(바이러스)에 감염된 것으로 의심되는 월남 도주자가 3년 만에 불법적으로 분계선을 넘어 7월19일 귀향하는 비상사건이 발생했다”고 다뤘다.
또 2020년 7월24일 개성시를 완전 봉쇄하고 다음날인 7월25일 김정은 국무위원장 주재 당 정치국 비상확대회의를 긴급 소집했으며, 비상방역 체계를 최대비상체제로 이행키로 했다.
아울러 “해당 지역 전연 부대의 허술한 전선 경계 근무 실태를 엄중히 지적”했다면서 당 중앙군사위 조사 결과에 따라 책임 있는 부대를 문책하고 대책을 강구하겠다고 했다.
북한이 이번 월북도 공개적으로 다룰지는 현재까지 미지수이다. 우선 북한은 방역과 경계 취약점에 대한 점검을 진행할 전망이다. 매체 조명이 이뤄진다면 그 전후가 될 가능성이 있다.
또 김 위원장에 대한 우상화 본격화, 5개년 계획 2차 년도 분위기 조성에 나선 상황에서 체제 공고화, 내부 결속 강화 차원으로 이번 월북 사례를 활용할 수 있다는 견해도 존재한다.
반면 정세 자극을 우려해 북한이 이번 월북에 대한 대대적 부각에 나서지는 않을 수 있다는 전망도 있다. 나아가 인권 지적에 대한 고려를 토대로 신병 인도까지 이뤄질 수 있다는 관측을 내놓는 이들도 존재한다.
이번 월북자는 2020년 11월 귀순한 30대 탈북민인 것으로 군 당국은 보고 있다. 그는 지난해 12월29일까지 당국과 연결됐으나 같은 달 30일 소식을 끊은 것으로 전해진다.
이후 월북자는 1일 오후 6시40분께 일반전초(GOP) 철책을 넘은 것으로 관측되고 있다. 현재까지 대공 용의점은 없는 것으로 파악되고 있으며, 군은 당시 상황 전반을 조사 중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