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 국무부는 최근 체중이 빠진 것으로 보이는 김정은 북한 노동당 총비서의 건강과 관련해 언급을 자제하는 한편, 북한에 대한 외교적 접근법을 거듭 강조했다.
네드 프라이스 국무부 대변인은 4일(현지시간) 새해 들어 처음으로 가진 전화 브리핑에서 최근 언론에 보도된 사진에서 김 총비서가 체중을 상당히 감량한 것으로 보이면서 그의 건강을 놓고 다양한 관측이 제기되는 데 대한 질문에 “김 총비서의 외모에 대한 추측(speculation)을 언급했다”며 “우리는 그런 추측을 더(추가)하고 싶지 않다”고 답변했다.
지난해 12월29일 조선중앙통신이 보도한 노동당 제8차 제4기 전원회의 2일차 현장 사진에서 김 총비서는 목둘레가 셔츠와 간격이 있는 모습을 확연하게 드러나는 등 급격히 살이 빠진 모습을 보여 건강이상설이 제기되기도 했다.
프라이스 대변인이 김 총비서의 건강과 관련해 별다른 언급을 하지 않은 것은 각국 정상들의 건강 문제는 대체로 보안 사항이긴 하지만, 특히 북한에선 김 총비서의 건강 문제는 매우 민감한 사안이라는 점을 고려한 것으로 풀이된다.
프라이스 대변인은 김 총비서의 건강에 대해 언급을 삼가는 대신 조 바이든 미국 행정부의 대북 외교적 접근법에 대한 입장을 거듭 강조했다.
그는 “제가 강조하고 싶은 것은 우리는 여전히 북한과의 대화와 외교를 통해 한반도의 항구적인 평화를 달성하기 위해 전념하고 있다는 것”이라며 “이를 위해 우리는 미국과 동맹국, 배치된 병력의 안보를 증진시키는 실질적인 진전을 이루기 위해 조율되고 실용적인 접근법의 일환으로 북한과의 관여 모색을 계속할 것”이라고 밝혔다.
그는 “그것이 우리의 궁극적인 목표”라면서 “그것은 이 행정부가 집권 초기 몇 달 동안 실시한 정책 검토의 결과”라고 힘줘 말했다.
그는 또 최선의 대북 관여 방안에 대해 한국과 일본, 그리고 다른 동맹국 및 파트너들과 긴밀하게 협의하고 있다고 덧붙였다.
한편, 프라이스 대변인은 이란 핵 합의(JCPOA·포괄적 공동행동계획) 복원 협상과 관련해 지난 3일 오스트리아 빈에서 협상이 재개돼 현재 회담이 진행 중이라며 “현 시점에서 우리가 말할 수 있는 것은 지난주 회담에서 약간의 진전이 있었다는 것이다. 우리는 이번 주에 그것을 발전시키길 바란다”고 밝혔다.
그는 조만간 JCPOA 복원을 위한 합의에 도달하지 못할 경우 이란의 핵 조치 가속화로 인해 JCPOA의 비확산 이익이 점차 감소할 것이 분명하다며 “우리는 JCPOA를 준수하는 상호 복귀를 달성하는 것이 우리의 국익에 부합한다는 점을 여러 차례 밝혀 왔다”고 조속한 복귀의 필요성을 강조했다.
프라이스 대변인은 특히 ‘한국에 묶인 이란 동결자금 문제를 포함해 해외 동결 자산 문제가 곧 해결될 가능성이 있느냐’는 질문에 “제재 완화는 JCPOA를 준수하기 위해 상호 복귀를 이룰 경우 이란이 취해야 할 핵 조치와 함께 미국이 취해야 할 조치”라며 “지금 빈에서 진행 중인 협상의 핵심”이라고 밝혔다.
그는 다만 지난해 12월과 비교해 약간의 진전이 있었지만, 이란이 어떻게 JCPOA에 따른 핵 합의를 완전히 이행하기 위해 복귀할지와 제재 완화 문제 등 어려운 문제들을 확인하고 있는 중이라고 밝혔다.
이와 관련, 최종건 외교부 1차관은 JCPOA 복원 협상 참가국 대표들과 회동을 위해 빈을 방문 중이다. 한국은 JCPOA 복원 협상의 당사국은 아니다. 그러나 한국이 이란에 지급해야 할 원유 대금 약 70억 달러(약 8조3000억원)가 한국 금융기관에 동결돼 있어 그간 JCPOA 복원 논의에 동참해 왔다.
(워싱턴=뉴스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