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해 11월 서울 여의도 한국거래소에서 열린 카카오페이의 코스피 신규상장 기념식에 참석한 관계자들이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 2021.11.3/뉴스1 © News1
카카오 자회사에서 발생한 문제가 본사 경영 위협으로 이어진 건 이번이 처음은 아니다. 지난해 카카오는 카카오모빌리티에서 촉발된 ‘골목상권 침해’ 논란으로도 몸살을 앓았다.
카카오의 잇단 ‘자회사 리스크’에 업계에선 공동체 수장인 김범수 의장 역시 책임을 피해 가기 어렵다는 이야기까지 나온다. 김 의장은 지난해 국회 국정감사장에서 “저 자신도 모르게, 또 카카오의 공동체 CEO들도 성장에 취해서 주위를 돌아보지 않는 실수를 저질렀다고 생각한다”며 직접 카카오의 쇄신을 약속한 바 있다.
◇ 47일만에 막내린 카카오 리더십 개편
김범수 카카오 의장이 21일 서울 여의도 국회에서 열린 과학기술정보방송통신위원회의 방송통신위원회 등에 대한 국정감사에서 증인으로 출석해 의원의 질의에 답하고 있다. 2021.10.21/뉴스1 © News1
문제는 류 대표의 ‘400억대’ 주식 매도에서 시작됐다. 류 대표를 포함한 카카오페이 경영진 8명은 상장 한 달만인 지난해 12월 주식 총 44만주를 대량 매도했다.
사실 IT 업계에선 임원진이 주식을 매도해 차익을 실현하는 건 흔히 일어나는 일. 다만 대표를 포함한 경영진 전체가 집단으로 차익 실현에 나서는 건 이례적이다. 류 대표는 주식 23만주를 매각해 약 457억8000만원에 달하는 시세차익을 거뒀다.
◇ 바람 잘 날 없는 카카오…택시 잠잠하니 페이에서 ‘잡음’
이번 카카오페이의 ‘먹튀’ 논란은 지난해 카카오모빌리티에서 비롯된 ‘골목상권 침해’ 논란과 궤를 같이한다. 두 논란 모두 기업의 ‘사회적 책임’ 결여에서 발생했기 때문이다.
지난해 8월 카카오모빌리티는 빠른 택시 배차 서비스인 ‘스마트호출’ 비용을 기존 ‘1000원’에서 ‘0원~5000원’의 탄력요금제로 바꿨다가 택시 요금 인상이라는 비판에 부딪혔다.
이는 국내 공룡 IT기업 카카오의 골목상권 침해 논란으로 이어졌고, 결국 김범수 카카오 이사회 의장은 기업 총수로는 드물게 3번이나 증인으로 국회 국정감사장에 불려나갔다.
카카오페이와 카카오모빌리티에서 발생한 논란 모두 기업의 존재 목적인 ‘성장과 보상’에 따른 결정이었으나, 대기업이 가져야 할 ‘사회적 책임’을 간과했다는 지적이 나온다.
◇ 카카오, 잇단 ‘자회사 리스크’ 해법 없나?
카카오 자회에서 발생하는 잇단 잡음에, 카카오 공동체를 이끌고 있는 김범수 의장 역시 이번 논란의 책임을 피해가기 어렵다는 이야기가 나온다. 실제 카카오 노동조합 측은 이번 사태를 두고 ‘김범수 책임론’을 언급하기도 했다.
업계는 김 의장이 강조하는 ‘100인의 CEO’ 육성 정책에 한계가 있다고 보고 있다. 김 의장은 100인의 CEO를 육성하겠다는 정책 아래 계열사의 ‘자율성’을 최대한 보장해주고 있다. 다만 이는 카카오 공동체의 ‘컨트롤타워’ 부재를 야기함과 동시에, 계열사의 ‘각자도생’과 ‘사회적 책임 결여’ 문제를 야기하고 있다.
한편, 카카오는 본사를 포함한 전 계열사 최고경영자(CEO) 및 임원의 주식매수선택권(스톡옵션) 매도 관련한 지침 마련에 착수하며 사태 수습에 나섰다.
동시에 카카오는 내부 논의와 절차에 따라 새로운 대표를 확정하는 대로 추후 재공시할 방침이다. 류영준 내정자의 카카오페이 대표 임기는 3월까지로 예정돼 있다. 이후 카카오페이 대표직을 이어갈지는 아직 결정되지 않았다.
(서울=뉴스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