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주 아파트 붕괴 조사위 관계자 “바닥-벽 잇는 철근 거의 안보여…건물 붕괴 때 보통 철근은 남아” 실종자 1명 발견…생사 확인못해 광주시장 “안전성 확보 안되면 전면철거후 재시공 방안 검토”
광주 서구 화정아이파크 아파트 붕괴 사고와 관련해 정부가 건물 상층부에서 콘크리트와 함께 철근이 절단된 이유에 주목하고 있는 것으로 확인됐다. 철근과 콘크리트 등이 제대로 설계 시공되지 않은 등 총체적 부실이 의심된다는 것이다.
13일 국토교통부 중앙건설사고조사위원회 핵심 관계자는 “사고 현장을 확인했는데 붕괴한 건물 5개 층에 걸쳐 바닥과 벽을 잇는 철근이 거의 보이지 않았다”며 “굉장히 이례적인 사고”라고 했다. 일반적으로 건물이 무너지면 콘크리트 사이로 철근이 노출된다.
이 관계자는 설계보다 짧은 철근 또는 불량 철근을 썼을 가능성과 함께 설계 자체가 부실했을 가능성을 제기했다. 또 콘크리트에 이물질이 섞여 품질이 떨어졌거나 충분히 양생(콘크리트가 완전히 굳을 때까지 보호하는 작업)하지 않았을 가능성도 언급했다.
광주경찰청 수사본부는 전날 압수수색한 콘크리트 공급 및 타설(콘크리트를 거푸집에 붓는 작업) 업체, 장비(펌프카) 업체 등에서 작업일지 등 각종 기록을 확보했다고 13일 밝혔다. 이를 통해 콘크리트 양생 기간, 부실 자재 공급 여부 등을 집중 조사 중이다. 경찰은 하도급 업체 10여 곳까지로 수사 대상을 확대할 계획이다.
이용섭 광주시장은 “안전성이 확보되지 않으면 해당 전체 단지(8개동, 847가구)를 전면 철거한 후 재시공하는 방안까지 검토하겠다”고 밝혔다. 또 “(붕괴 사고 책임이 있는) HDC현대산업개발을 광주시 추진 사업에 일정 기간 배제하는 방안도 검토할 것”이라고 했다.
“16개층이 한꺼번에 무너져… 철근-콘크리트 부실시공 가능성”
전문가 제시 ‘붕괴원인 찾을 실마리’
크레인 충돌해도 한두 층만 붕괴…콘크리트 강도와 품질 떨어진 듯
콘크리트 붓자 거푸집서 ‘두둑’ 소리…붕괴 10분전 39층 바닥 내려앉아
거푸집 고정 제대로 했는지 의심…무게 받칠 구조물 부실 했을수도”
“후진국에서나 일어날 법한 사고다. 현장 시공부터 설계에 이르기까지 총체적 문제가 있을 걸로 보인다.”(건설업체 임원 B 씨)
12일 광주 서구 화정아이파크 아파트 붕괴 사고 현장을 둘러본 국토교통부 중앙건설사고조사위원회 관계자와 전문가들은 이번 사고가 굉장히 이례적이라고 입을 모았다. 사고가 발생하기 시작한 건물 상층부에서 철근이 끊어지고 16개 층이 와르르 무너진 점 등 일반 사고 현장에서는 보기 힘든 단서들이 잇달아 나온 데에 따른 것이다. 이는 향후 정부의 공식 조사에서 사고 원인을 규명할 스모킹건(결정적 증거)이 될 것으로 보인다.
○ “바닥-벽면 잇는 철근 안 보여”
자재 불량 가능성도 나온다. 광주 서구청에는 지난해 1월 화정아이파크 공사 현장에 쌓인 철근이 눈에 노출되고 있다는 민원이 들어왔다. 서구청은 현장 방문 당시 인부들이 덮개로 철근을 덮었다고 했지만 관할 구청이 건축 자재 관리 감독을 더 철저히 했어야 한다는 지적이 나온다.
○ 1개 층 아닌 16개 층이 와르르 무너져
조창근 조선대 건축공학과 교수는 “콘크리트에 이물질이 섞였다면 품질이 떨어질 수 있다”고 말했다. 최창식 한양대 건축공학부 교수는 “강풍이 불고 기온이 떨어지면 양생에 더 신중했어야 한다”고 했다.
○ 거푸집서 ‘두둑’… 바닥 움푹 가라앉아
영상에는 옥상 바닥에 콘크리트를 부으며 무게가 더해지자 거푸집이 ‘두둑’ 하는 소리를 내는 장면이 1초가량 담겼다. 바닥은 눈에 띌 정도로 한가운데가 아래로 움푹 내려앉아 있다. 동영상 촬영자는 “39층 붕괴 지점에서 ‘둥둥’ 하는 소리가 나 계단 쪽으로 피했다가 찍었다”며 “(이상 징후가 느껴져) 계단으로 달려갔고 37층 정도 내려왔을 때 콘크리트가 무너져 내렸다”며 긴박했던 상황을 전했다.
건설업계 관계자는 “바닥 수평이 맞아야 하는데 무게를 받칠 구조물이 제대로 설치되지 않았을 수 있다”고 했다. 거푸집이 흔들리지 않게 연결하는 작업이 제대로 이뤄지지 않고 풀려서 떨어졌을 가능성도 제기된다.
기본설계상 문제를 지적하는 목소리도 나온다. 송창영 광주대 건축학과 교수는 “붕괴가 멈춘 게 23층인데 이 층은 피난안전구역으로 벽면이 다른 층보다 많아 하중을 잘 견뎠다”며 “설계도를 보면 기둥이나 벽면이 부족해 보인다. 안전에 대한 고려가 부족했을 수 있다”고 했다.
광주=이형주 기자 peneye09@donga.com
광주=박종민 기자 blick@donga.com
최동수 기자 firefly@donga.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