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우조선해양이 건조한 LNG운반선. 대우조선해양 제공
현대중공업이 대우조선해양 인수를 포기했다. 이에 따라 정부의 대우조선해양 새 주인 찾기 작업이 이어질 것으로 보인다.
대우조선해양의 재무구조 등을 감안하면 마땅한 후보자를 찾기 어려운 상황이다. 무엇보다 국내 조선사들의 저가수주 경쟁을 막고자 ‘빅2’ 조선사로 개편하려는 전략이 무산되면서 한국 조선산업 체질 개선에 실패했다는 지적도 잇따르고 있다.
14일 공정거래위원회는 현대중공업그룹 중간 지주사인 한국조선해양이 대우조선과의 기업결합 신고를 철회했다고 밝혔다. 공정위는 “13일(현지 시간) 유럽연합(EU) 경쟁 당국의 금지 결정으로 기업결합을 계속 추진할 수 없는 상황”이라며 “계약 종결을 확인하는 대로 심사 절차를 종료할 것”이라고 밝혔다.
현대중공업은 강하게 반발하며 소송에 나설 기류도 감지됐다. 그러나 EU를 상대로 시정요구를 한다 해도 결론 나기까지 또다시 1년 이상 소요될 것으로 예상돼 실익이 없다고 판단한 것으로 보인다. 조선업계에서는 오히려 현대중공업이 인수 후 유상증자로 투입하려 했던 1조5000억 원을 아끼게 돼 재무적으로 숨통이 트이게 된 점은 긍정적이라는 반응도 나온다.
문제는 대우조선이다. 지난해 1조3000억 원대 적자가 예상돼 현대중공업이 투입하기로 한 신규 자금이 아쉬운 상황이다. KDB산업은행의 품으로 돌아가 다시 매각 작업을 거쳐야 해 경영 불확실성이 확대될 수밖에 없다.
정부는 “글로벌 조선산업 구조조정으로 과당 경쟁의 우려가 크게 감소했다”며 양사 합병 무산의 충격이 크지 않다고 설명했다. 하지만 조선업 호황기가 지나면 3사의 출혈 경쟁이 다시 반복될 가능성이 없지 않다. 조선업계 관계자는 “합병 심사 탓에 3년이라는 시간이 허비됐고, 리더십이 없는 대우조선은 새 주인이 나타나기까지 과감한 투자가 어려워 졌다”고 분석했다.
채권단은 2019년과 현재의 달라진 조선업계 상황과 대우조선 재무구조 등을 감안해 기업 가치를 재산정한 뒤 적정 매각 가격을 추산할 방침이다. 일단 해외 매각 가능성을 배제하기로 가닥을 잡았다. 정부 관계자는 “2019년 때나 지금이나 해외 매각은 곤란하다”며 선을 그었다. 대우조선은 고부가가치 선박인 액화천연가스(LNG) 기술을 보유한 데다 방위산업을 하고 있다.
이건혁 기자 gun@donga.com
강유현 기자 yhkang@donga.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