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주열 한국은행 총재가 14일 오전 서울 중구 한국은행에서 열린 금융통화위원회 본회의에서 의사봉을 두드리고 있다. (한국은행 제공)
이에 따라 시장의 관심은 벌써부터 2월 금통위 본회의에 쏠리고 있다. 전문가들은 대선을 2주일 앞둔 2월 금통위에선 ‘동결’로 한 박자 쉬어갈 가능성을 점치고 있다. 다만 미국 연방준비제도(Fed·연준)가 통화 긴축의 발걸음을 재촉할수록 우리나라 금리 인상 시계 역시 앞당겨질 거란 전망이 나온다.
17일 한국은행에 따르면, 우리나라 기준금리는 코로나19 사태가 터진 2020년 3월 종전의 연 1.25%에서 0.75%로 대폭 떨어졌다. 같은 해 5월에는 사상 최저인 0.50%로 하락했으나 이듬해인 2021년 8월 0.75%, 11월 1.00%로 상승 곡선을 그렸다.
이를 두고 이주열 한은 총재는 “지금도 실물경제 상황에 비해서 여전히 완화적 수준”이라며 “기준금리가 1.5%가 된다고 하더라도 ‘긴축’으로는 볼 수 없다”고 평가했다. 추가 금리 인상을 시사한 발언이다.
코로나19 사태라는 전대미문의 위기 속에서 금통위가 유례없는 ‘0%대 기준금리’를 향해 돌진했다면, 이제는 기준금리 인상 시기만을 저울질하는 셈이다.
© News1
인플레이션 위협에 다급하게 쫓기는 연준의 통화 긴축 일정 역시 우리나라 기준금리 인상에 영향을 줄 전망이다.
올해 금리 인상 횟수도 기존의 3회에서 4회로 늘릴 가능성에 힘이 실린다. 시카고 연준의 찰스 에반스 총재는 이날 “인플레이션 데이터가 빨리 충분히 개선되지 않으면 올해 금리를 4번 올릴 수도 있다”고 언급했다.
물론 금통위가 연준보다 최소 6개월 앞서 우리나라 기준금리를 발 빠르게 올린 덕분에 한미 기준금리 차는 이미 1.00~1.25%p로 상당폭 벌어진 상태다. 이 총재가 “당분간 국내 경제에 우선할 여지가 있다”고 발언한 배경이다.
그러면서도 이 총재는 “연준의 통화정책 변화가 생각보다 빨라지고 긴축 정도도 세진다면 우리 통화정책 운용에 있어서도 중요한 고려 요인이 될 것”이라고 여지를 남겼다.
이와 관련해 김상훈 KB증권 연구원은 “금융시장에서는 올 연말까지 우리나라 기준금리가 1.50~1.75%, 내년 연말까지 1.75~2.00% 정도로 오를 거란 전망이 나오는데 연준의 통화정책으로 인해 우리나라의 금리 수준 자체가 확 높아질 것 같진 않다”면서도 “연준의 기준금리 인상 일정이 앞당겨지면 우리나라 인상 시점도 전반적으로 빨라질 것”이라고 내다봤다.
<뉴스1>이 지난 14일 열린 금통위 회의를 앞두고 국내 증권사 소속 애널리스트 10명을 대상으로 설문한 결과에서도 이들 전원은 2월 금통위에서 기준금리가 동결될 것으로 봤다.
금통위가 1월 정례회의 직후 공개한 통화정책방향 결정문(통방문)에서 “기준금리 인상의 파급효과”를 점검하겠다는 문구를 새로 넣은 것을 두고서도 금융권에선 “2월에는 금리인상을 쉬어간다는 뜻”이라는 해석이 나온다.
공동락 대신증권 연구원은 “코로나19 충격 이후 금통위가 기준금리를 적극적으로 내렸는데 이제 그 이전 수준으로 복귀한 것이니 통화정책 차원에서 정상화를 일정 수준 달성했다고 평가할 수 있다”며 “이 총재의 임기가 만료되는 3월까지 사실상 금리를 인상할만한 시점은 1월이 마지막이었다고 여겨지며 2월에는 기준금리가 더 오르지 않을 것으로 본다”고 말했다.
그보다는 2월 금통위에서 금리 인상 소수의견이 얼마나 나올지가 금융권 관심사로 떠오른 양상이다.
윤여삼 메리츠증권 연구원은 “금융 불균형에 초점을 맞추는 일부 금통위원들이 2월에도 금리 인상 소수의견을 낼 수 있긴 하지만, 기준금리 인상이 시급하진 않기 때문에 실제 인상 결정이 단행되기까지는 시간이 지연될 수 있다”며 “만일 2월 금통위에서 ‘만장일치 동결’이 나온다면 생각보다 연내 통화정책 정상화의 시기라든가 속도가 균형을 잡는 쪽으로 갈 것”이라고 전망했다.
(서울=뉴스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