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 정부가 중국의 대표적인 빅테크(대형 기술기업) 기업인 알리바바에 대해 조사하고 있다고 로이터통신이 18일(현지시간) 보도했다. 최근 급성장하고 있는 알리바바의 클라우드 서비스가 미국 국가안보에 위협이 될 수 있다는 이유에서다.
조 바이든 행정부가 5세대(G) 이동통신 장비 선두기업이었던 화웨이를 제재한데 이어 빅데이터, 인공지능(AI) 등 첨단산업을 위한 필수 산업인 중국의 클라우드 서비스를 겨냥하고 나서면서 미-중간 기술패권 경쟁이 재점화될 수 있다는 전망이 나온다.
로이터통신에 따르면 미국 상무부는 미국 기업과 거래하고 있는 중국 기술기업에 대한 조사를 강화하는 과정에서 중국 최대 전자상거래 기업인 알리바바의 클라우드 서비스에 대한 조사에 착수했다. 이번 조사는 알리바바가 미국 기업이나 개인 고객들의 정보와 특허, 디자인 등 지적재산권 등 데이터의 저장 실태와 함께 중국 정부가 이 데이터에 접근할 수 있는지 여부에 초점이 맞춰져 있다고 로이터통신은 전했다.
미국 규제당국은 조사 결과에 따라 알리바바에 이 같은 우려를 해소할 수 있는 방안을 마련하도록 요구하는 동시에 미국 기업과 개인이 이 서비스를 사용하는 것을 제한하기 위한 제재에 나설 수 있다고 로이터통신은 보도했다.
바이든 행정부가 알리바바에 대한 조사에 나선 것을 두고 중국의 첨단기술 산업에 대한 견제가 다시 본격화될 수 있다는 전망이 나온다. 현재 세계 클라우드 서비스 시장은 미국 기업인 아마존과 마이크로서비스, 구글 등이 주도하고 있지만 알리바바가 빠르게 추격하고 있는 상황이다. 알리바바는 일부 클라우드 서비스 분야에서 구글을 제치는 등 지난해 클라우드 서비스로 90억 달러(약 10조7300억 원)의 매출을 올려 전년 대비 50% 성장했다.
클라우드 서비스는 빅데이터, AI 등 차세대 산업을 육성하는데 반드시 필요한 데이터 확보를 위한 핵심 산업 분야로 꼽힌다. 알리바바의 미국 내 클라우드 서비스 사업 규모가 5000만 달러 수준에 불과한데도 바이든 행정부가 조사에 나선 것도 이 때문이라는 분석이 나온다. 도널드 트럼프 전 대통령은 2020년 8월 “미국인의 개인 정보가 중국 공산당에 유출될 수 있다”며 중국 빅테크 기업 텐센트를 상대로 미국 기업 및 미국인과의 거래를 금지하는 행정명령에 서명하면서 알리바바 등 클라우드 서비스를 다음 목표로 지목한 바 있다.
이번 조사 역시 트럼프 전 대통령 시절 만들어진 상무부 내 정보보안국이 주도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정보보안국은 중국, 러시아, 쿠바, 이란, 북한, 베네수엘라 등 이른바 해외 적성국가의 인터넷, 통신, 기술 기업과 미국 기업의 거래를 조사해 차단하는 역할을 전담하고 있다.
워싱턴=문병기 특파원 weappon@donga.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