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트렌드 생활정보 International edition 매체

‘급증’ 오미크론, 1만명 눈앞…이번주 방역체계 전환하나

입력 | 2022-01-24 07:10:00


코로나19 오미크론 변이 확산으로 하루 신규 확진자가 급증하는 모양새다. 일주일 사이 일일 신규 확진자 규모가 두 배씩 증가하는 점을 고려하면 이번 주에 하루 1만명대 발생까지 예상되는 상황이다.

이에 정부가 이번 주 전국에 오미크론 변이 ‘대응 단계’를 발령하고, 검사·의료체계를 대대적으로 전환할지 관심이 쏠린다. 광주 등 4개 지방자치단체는 오는 26일 전환하지만, 전국 단위 계획은 구체적으로 나오지 않은 상황이다.

24일 질병관리청 중앙방역대책본부(방대본)에 따르면 전날인 23일 0시 기준 코로나19 일일 신규 확진자는 7630명이다. 일일 발생 규모로는 역대 가장 많았던 지난해 12월15일 7848명에 이어 두 번째다.

델타 변이보다 전파력이 2~3배 높은 오미크론 변이가 우세종이 된 건 기정사실이다. 오미크론 변이 검출률은 지난 15일까지 26.7%에서 16~19일 47.1%로 늘었다. 전파 속도를 고려하면 지난 주말에 이미 50%를 넘었을 것으로 추정된다.

일주일 전인 지난 17일 3857명이었던 확진자는 18일 4070명→19일 5804명→20일 6601명→21일 6767명→22일 7008명→23일 7630명으로 가파르게 증가했다. 6일 새 두 배 가까이 늘어난 셈이다. 주간 평균 국내발생 확진자 수는 직전 주(1월10~16일) 3625.1명에서 5664.3명으로 2035.9명 급증했다.

오미크론 변이 점유율은 설 연휴가 낀 1~2주 이내에 80~90%로 늘어날 것으로 예측된다. 감염을 제대로 통제하지 못하면 다음달 말 하루 1만5000명, 최악의 경우 9만명까지 늘어날 수 있다는 전망까지 나온다.

연이틀 7000명대 확진자가 발생하고, 유행 규모가 증가할 것으로 예상되면서 정부가 곧 오미크론 변이 검사·의료체계를 ‘대응 단계’로 전환할 것으로 보인다.

대응 단계에서는 밀접 접촉자, 60세 이상 의심 환자, 의사소견서 보유자, 자가검사키트·신속항원검사 양성자 등 고위험군만 유전자 증폭(PCR) 검사를 받는다. 한정된 PCR 검사 역량을 고위험군에 집중하는 것이다. 그 외에는 자가·신속항원검사에서 양성이 확인되면 PCR 검사가 가능하다.

호흡기전담클리닉으로 지정된 동네 병·의원에서 확진자를 진단·관리하고, 재택치료 기간은 10일에서 7일로 줄어든다. 의료·소방·교통 등 사회 필수 직종은 확진되더라도 일정 부분 근무하는 업무지속계획(BCP)을 추진한다.
문제는 전환 시점이다. 정부는 ‘주간 평균 국내발생 확진자 수 7000명’을 넘으면 본격 전환할 계획이지만, 준비 시간이 부족하다. 여기에 확진자 증가 속도가 더 빨라지고 있다.

당초 정부는 광주·전남·평택·안성 등 4곳에서 대응 단계가 시행되는 26일에 7000명대 확진자가 나올 것으로 예상했다.

그러나 이보다 이른 지난 23∼24일 연속 7000명대 확진자가 나오면서 유행 규모 급증에 대한 우려가 커지고 있다. 일주일 새 2배가량 늘어나는 특성을 고려하면 평일 검사량 증가 영향이 반영되는 수요일(26일 0시) 확진자는 1만명대로 폭증할 수 있다. 정부가 방역단계 전환 시점으로 제시한 주간 평균 7000명 기준에 이번 주말 이를 수도 있을 것으로 전망된다.

정부는 우선 광주 등 4곳에서 대응 단계 전환을 추진하고, 전문가 의견 등을 반영할 계획이다. 다른 지역은 우세종화 현황 등을 고려해 추진할 예정이다.

이처럼 구체적인 계획이 나오지 않은 이상 확진자 급증에 따른 검사량 폭증, 재택치료 관리 수요 증가 등 검사·치료 전반에서 우려가 커질 수밖에 없다. 사회필수기능 유지를 위한 업무지속계획의 구체적인 내용조차 나오지 않았다.

홍윤철 서울대의대 예방의학교실 교수는 “팬데믹(pandemic·대유행)이 아니라 엔데믹(endemic·풍토병)으로 가는 것이다. 그에 맞게 지역사회에서 감염병 관리가 가능한 전략을 마련해야 한다”며 “단기 전략이 아니라 장기적으로 대응 가능한 구체적인 방법이 나와야 한다”고 조언했다.

[서울=뉴시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