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조업체가 밀집한 울산공단 전경. 동아일보DB
2015년 이후 5년 동안 한국 제조업의 국내 고용이 18만 명 감소했다고 전국경제인연합회가 어제 밝혔다. 반면 해외 고용은 42만 명 이상 증가했다고 한다. 조선과 자동차산업 구조조정 여파로 국내 채용은 줄어든 반면 해외 투자 증가로 현지 고용이 늘어나며 인력 유출이 심화됐다는 것이다. 같은 기간 미국, 일본, 독일의 자국 내 제조업 취업자 수가 3% 이상 증가한 점을 감안하면 한국의 제조업 일자리 창출 능력만 후퇴한 것이다.
또 이날 한국경영자총협회가 내놓은 구직자 인식조사에 따르면 청년 구직자 10명 중 4명은 가장 취업하고 싶은 분야로 공공기관과 공무원 분야를 꼽았다. 취업 시 최우선 고려사항으로 응답자의 절반 이상이 임금 및 복지 수준과 워라밸이라고 답한 반면 ‘성장 가능성과 비전’이라는 응답 비중은 12.5%에 그쳤다. 제조업 고용 기반이 무너진 상황에서 청년들이 도전정신과 비전까지 상실하면서 산업의 역동성이 죽어가고 있다.
기업 입장에서 부품을 편리하게 조달하고 소비시장을 쉽게 공략하기 위해 해외로 진출하는 것은 불가피한 측면이 있다. 하지만 선진국들은 기업 환경을 개선하고 자국 기업이 본국으로 돌아오게끔 유도하는 ‘리쇼어링’ 정책을 추진하며 자국 내 일자리 창출력을 강화해왔다. 지난해 미국으로 복귀한 1300개 유턴 기업이 13만8000개의 일자리를 만든 것은 중장기 정책의 결과물이었다. 반면 국내 유턴 기업은 지난해 26곳으로 여전히 미미한 수준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