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트렌드 생활정보 International edition 매체

지평리 戰場에서 얻은 교훈[임용한의 전쟁사]〈197〉

입력 | 2022-01-25 03:00:00


1951년 1월 28일 미군 2사단 23연대 소속 1개 소대가 지평리 남동쪽에 위치한 쌍굴터널 근처를 정찰하기 위해 출발했다. 다음 날 2차 정찰에서 이 소대는 중공군의 습격을 받아 고지에 고립된다. 미군은 사투 끝에 간신히 이들을 구출하지만, 이 전투는 벌집을 쑤신 격이 됐다. 당시 미국 정부는 6·25전쟁 포기를 고민하고 있었다. 1월 13일 해리 트루먼 대통령의 성명으로 이 논의는 중지되지만, 그러기 위해서는 전투 결과로 증명해야 했다. 매슈 리지웨이 장군은 동부전선의 중공군이 취약하다고 보고 북진을 명령했다.

아직 두려움을 떨치지 못한 미 2사단은 엉거주춤 횡성 쪽으로 진격하다가 중공군과 조우한 것이다. 이 작은 전투는 다음 날 연대 규모의 전투로 발전한다. 마침 6·25전쟁에 참전한 프랑스 대대가 선봉에 서고, 23연대 3대대가 참가해 쌍굴 근처 고지를 점령하고 이틀간 중공군 대군과 격전을 벌인다. 이 전투에서 승리한 뒤 23연대는 지평리로 진입했고, 2월 13일부터 16일까지 6·25전쟁의 판세를 바꾼 지평리 전투를 벌이게 된다.

지난 이틀간 쌍굴 지역과 지평리의 전적지 답사를 다녀왔다. 우연히 답사팀이 장군, 영관, 부사관, 사병에 종군기자 출신이라는 기막힌 구성이 되었다. 생존용사분 인터뷰도 하고, 지도와 전투기록을 들고, CSI(과학수사대)처럼 참호 흔적, 총탄 자국을 더듬으며 고지와 능선을 돌아다녔다.

두 가지 놀라운 사실을 발견했다. 당시 전투 위치를 찾고, 복원하고 생생하게 체험하는 일이 가능했다. 어떤 곳이 매복 지점인지, 왜 이들은 살고, 이들은 죽었는지, 어떤 부대가 훌륭한 부대이고, 승리하는 부대인지 현장이 말해주고 있었다. 두 번째는 이유 없는 결과는 없다는 것이었다. 빼앗긴 고지는 원래 취약한 곳이었다. 돌파당한 지점은 충분한 대비를 못한 탓이었다. 임기응변의 지휘는 알고 보면 준비하고 대비한 결과였다. 세상의 진리도 그렇다. 개인을 탓하고, 집단을 탓하기 전에 사회의 구조와 세계의 변화와 시대의 흐름을 읽어야 한다. 전장에서 살아남았거나 남을 살린 사람은 다 그런 사람들이더라.




임용한 역사학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