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가 오미크론 변이 확산에 대응하기 위해 꺼내든 ‘검사방식 전환’이 확진자를 대거 놓쳐 전파를 확산시킬 수 있다는 우려도 일각에서 나온다. PCR 검사 여력이 하루 30만건 정도 남은 만큼 기존 검사방식을 최대한 유지할 필요가 있다는 지적이다.
정부는 오미크론 대응체계의 일환으로 정확도가 높은 PCR검사는 60세 이상 고위험군에 한해 실시하고, 나머지는 신속항원검사(자가검사키트)로 우선 검사하는 방안을 추진하고 있다.
이 같은 검사 방식 전환은 오는 26일부터 오미크론이 우세종화된 광주·전남·평택·안성에서 시행한 뒤 이달 말 또는 다음달 초부터 전국으로 확대된다.
정부도 검사방식이 바뀌면서 전파가 확산할 수 있다는 점을 인정한다. 손영래 중앙사고수습본부 사회전략반장은 전날 “검사체계를 전환하면 전파에 있어서 통제력이 약화되는 측면이 있을 것”이라고 밝혔다.
손 반장은 “고위험환자에 대한 조기진단과 치료는 계속 유지되지만, 젊은층이나 위험도가 낮은 국민의 진단과 치료는 지금보다 느슨해지는 문제가 발생한다. 무증상, 경증 환자의 전파 확산도 수반된다”며 “반면 현재 PCR검사 역량은 하루 30만건의 여유가 있어 전환의 타이밍을 고민 중”이라고 했다.
방역 당국은 하루 80만건까지 PCR 검사가 가능한데, 현재 50만건 정도 검사가 이뤄져 30만건 정도의 여력이 있다는 입장을 밝힌 바 있다.
일부 전문가도 아직 검사 대응에 여유가 있는 만큼 검사방식 전환의 전국 확대는 최대한 늦춰야 한다는 의견을 내놓고 있다.
1차 신속항원검사에서 양성이 나오면 PCR검사 결과가 나오기 전이라도 일단 치료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다.
정기석 한림대성심병원 호흡기·알레르기내과 교수는 “신속항원검사에서 위양성(가짜양성)과 위음성(가짜음성) 논란은 여전히 있다”며 “고위험군에서 신속항원검사 양성이 나오면 일단 치료를 시작하고, 이후 PCR검사에서 음성이 나오면 치료를 중단하면 된다”고 제언했다.
[서울=뉴시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