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가 재택치료 환자 증가에 맞춰 고위험군 위주로 관리체계를 효율화한다. 하루 2~3회 실시하는 건강모니터링 전화를 1~2회로 완화하는 방안을 검토 중이다.
코로나19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중대본)는 25일 확진자 급증과 재택치료자 증가에 대비한 재택치료 대응방안을 내놨다.
우선 오는 26일부터 재택치료 기간을 10일에서 7일로 단축하고, 미접종자는 7일간 건강관리 후 3일간의 자율격리를 실시한다.
관리의료기관 확충에도 나선다. 일일 확진자 2만명(최대 관리가능인원 11만명) 발생에 대비하기 위해 우선 이달 말까지 관리의료기관을 400개 이상으로 확대할 계획이다.
의원급 참여를 활성화하기 위해 의원급 재택치료 모형을 ▲의원-병원 연계모형 ▲의원-지원센터 연계모형 ▲의원 컨소시엄 모형 등으로 다양화하고, 지자체별 여건에 맞게 탄력적으로 운영하도록 한다.
또 응급상황에 신속하게 대응하기 위해 비응급 상황에는 구급차 이용을 제한한다. 일반적인 외래진료 환자는 자차와 방역택시를 우선 이용하고, 구급차는 중증·응급환자 중심으로 이용될 수 있도록 한다.
[서울=뉴시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