軍 “작년 9월 순항미사일과 유사”, 탐지 어려운 북한판 토마호크 추정 전술핵 장착땐 게임체인저 될 우려… 연초 北-美 실무접촉서 성과 없자 저강도 도발로 탐색전 이어가… 이달중 IRBM 등 추가도발 가능성
북한이 25일 동해상으로 순항미사일 추정 발사체 2발을 쐈다. ‘핵실험·대륙간탄도미사일(ICBM) 발사 모라토리엄(중단)’ 철회를 시사한 지 닷새 만이다. 새해 들어 벌써 5번째 도발로 미사일 종류는 물론이고 발사 장소 및 플랫폼을 다양하게 전환하며 집중 도발에 나서고 있다. 언제 어디서 무엇으로든 치명타를 날릴 수 있음을 과시하는 동시에 대북제재 강화 등을 시사한 조 바이든 미 행정부에 경고장을 날린 것. 일단 저강도 도발로 탐색전에 나선 북한은 향후 중거리탄도미사일(IRBM) 등 추가 도발을 통해 한반도 긴장 수위를 더욱 끌어올릴 것으로 보인다.
○ ‘북한판 토마호크’ 가능성…탐지·추적 어려워
군에 따르면 이날 오전 북한 내륙지역에서 발사된 순항미사일 추정 발사체 2발은 상당한 시간을 비행한 뒤 지상 표적에 낙하했다. 군은 사전에 관련 징후를 포착했다고 했지만 구체적인 발사 시간과 장소, 비행거리는 추가 분석 필요를 이유로 공개하지 않았다. 군 소식통은 “지난해 9월 11, 12일에 잇달아 쏜 신형 장거리순항미사일과 비행 궤도 및 경로가 유사하다”고만 했다. 이번에도 신형 장거리순항미사일 또는 이를 개량한 기종을 쐈을 가능성이 있다는 것이다.지난해 9월 북한은 신형 장거리순항미사일이 자신들이 설정한 타원 및 8자형 궤도를 따라 7580초(약 2시간 6분)를 비행해 1500km 계선(경계를 나타내는 선)의 표적을 명중했다고 밝힌 바 있다. 이 미사일은 미국의 토마호크와 외형이 유사해 ‘북한판 토마호크’라는 별칭이 붙었다.
순항미사일(시속 900km 이하)은 탄도미사일(음속의 5, 6배)보다 느리지만 레이더망을 피해 수십 m 초저고도로 궤도를 바꿔 비행한 뒤 초정밀 타격이 가능해 위협적이다. 지구의 곡률(曲率) 때문에 우리 군의 탄도탄 조기경보레이더로는 탐지, 추적도 어렵다. 군이 구체적인 비행 제원을 발표하지 않는 것도 이런 사정 때문일 가능성이 크다.
○ 제재 강화 시사한 美, 도발로 화답한 北
최근 잇단 북한의 도발은 바이든 행정부를 겨냥한 것으로 풀이된다. 동아일보 취재에 따르면 북-미는 새해 들어 복수의 채널을 가동해 실무진 간 탐색전 성격의 접촉을 가졌다. 하지만 가시적인 성과는 얻지 못한 것으로 보인다. 그런 가운데 바이든 정부는 최근 추가 대북제재 가능성까지 내비치며 북한을 압박했다. 결국 북한은 물밑 접촉에서도 미국이 제재 완화 등 요구를 수용할 여지를 남기지 않자 ‘강 대 강’ 대치를 통해 역으로 대미 압박에 나서겠다는 계산을 했을 가능성이 크다. 정부 핵심 관계자도 “북한 입장에선 향후 남북미 협상 국면으로의 전환 가능성을 고려해도 지금은 어느 정도 긴장 수위를 끌어올리는 게 ‘몸값’을 올리는 데 유리하다는 판단을 하고 있을 것”이라고 했다.
이에 한미 당국은 북한이 이달 중이라도 추가 전략 도발에 나설 가능성이 있다고 보고 있다. 그럴 경우 당장 미 본토를 겨냥한 ICBM이나 핵실험 등 고강도 도발보단 화성-12형 IRBM 등 중간 단계 도발을 통해 압박 수위를 높이며 한미 당국의 반응을 지켜볼 것이란 관측이 나온다.
신진우 기자 niceshin@donga.com
윤상호 군사전문기자 ysh1005@donga.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