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통화기금(IMF)이 올해 세계경제성장률 전망치를 기존보다 0.5%P 하향했다.
IMF는 25일(현지시간) 홈페이지에 공개한 1월 세계경제전망보고서 및 블로그 설명을 통해 2022년 성장률 전망치를 4.4%로 제시했다. 이는 지난해 10월 제시했던 4.9%에서 0.5%P 하향한 수치다. 2023년 성장률 전망치는 3.8%로 제시됐다.
국가별로는 미국의 2022년 성장률 전망치가 기존 5.2%에서 4.0%로 크게 하향했다. 유로존 역시 4.3%에서 3.9%로 떨어졌다. 일본은 3.2%에서 3.3%로 0.1%P 상승했지만, 영국(5.0%→4.7%), 캐나다(4.9%→4.1%) 등 주요 선진국 전망치가 일제히 하향 조정됐다.
한국의 올해 경제성장률 전망치는 3.0%로 제시됐다. 이는 지난해 10월 전망치보다 0.3%P 하락한 수치다. 미국과 중국 등이 0.8~1.2%가량 하향한 것과 비교하면 비교적 적은 폭의 하락이다. 2023년 한국 경제성장률 전망치는 2.9%로 제시됐다.
공급망 혼선과 인플레이션 압박, 기록적인 부채 수준 및 불확실성이 성장 둔화로 이어지고 있다는 게 IMF 평가다. IMF는 아울러 “오미크론 변이의 빠른 확산이 많은 국가에서 이동 제한 갱신으로 이어졌고, 노동력 부족을 증가시켰다”라고 했다.
다만 IMF는 오미크론 변이와 관련해서는 “델타 변이보다 덜 심각한 질병으로 결부된다고 보인다”라며 “기록적인 감염 증가는 비교적 빨리 감소하리라 예상된다”라고 설명했다. 구체적으로 오미크론 압박이 1분기에는 존재하나, 2분기부터 옅어질 것으로 전망했다.
인플레이션의 경우 단기간 높은 수준으로 유지되리라는 전망이 나왔다. 권역별로 2022년 선진국 물가 상승률 전망치는 평균 3.9%, 신흥·개도국의 경우 5.9%로 제시됐다. 다만 2023년에는 선진국 2.1%, 신흥·개도국 4.7%로 다소 진정될 것으로 봤다.
다만 국가별로 격차는 여전한 것으로 보인다. IMF는 “선진국은 올해 팬데믹 이전 경향으로 돌아갈 것으로 전망되지만, 일부 신흥 시장과 개도국은 중기적으로 상당한 생산량 손실이 전망된다”라고 했다. 또 “극빈층 숫자는 팬데믹 이전보다 7000만 명 정도 많다”라고 했다.
아울러 IMF는 “치명적인 변종의 출현은 위기를 연장할 수 있다”라고 지적했다. 또 “중국의 ‘제로 코로나’ 전략이 글로벌 공급 혼선을 악화할 수 있다”라고 내다봤다. 미국 연방준비제도(Fed·연준)의 인플레 대응 공격적 긴축 정책과 지정학적 긴장도 거론됐다.
IMF는 “세계 경제가 직면한 많은 어려움에 대응하려면 팬데믹의 영향을 없애는 게 필수”라며 “여기에는 광범위한 백신 접종과 검사, 치료법 접근을 보장하려는 국제적인 노력이 요구된다”라고 조언했다.
각국이 금리 인상에 대비해야 한다는 점도 거론했다. 특히 외화 차입과 외부 융자 비중이 큰 신흥·개도국의 경우 채무 만기 연장 등으로 금융 시장 격동에 대비해야 한다고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