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6일 오전 서울 중구 서울역광장에 마련된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임시선별진료소에서 시민들이 검사를 기다리고 있다. 2022.1.26/뉴스1 © News1
질병관리청은 지난 24일 오후 브리핑에서 접종완료자를 3차 접종 후 14일 경과, 2차 접종 후 90일 이내자로 정했다고 발표했다. 그리고 이에 따라 확진자의 격리 치료 기간과 밀접접촉자의 격리 기간도 이전에 비해 단축 또는 없앴다. 하지만 바로 하루 후 질병청은 “문구에 수정사항이 있어 사과드린다”면서 접종완료자의 기준이 3차접종자와 2차접종 후 14일~90일 사이라고 정정했다.
그러면서 “3차접종 후부터는 예방접종 완료자인데, 이를 명확하게 설명 드리지 못했다. 3차접종자는 접종 후 바로 접종완료로 적용된다고 지자체에 통보했다”고 설명했다. 이는 방역패스(접종증명·음성확인제)는 2차 접종 후 180일까지 적용되는 것과는 기간의 차이가 있다.
더구나 왜 말을 바꿨는지에 대한 설명도 없이 그저 “7000명 기준은 물리적이고 기계적인 기준이 아니다. 7000명 수준이 평균 추세로 형성이 되면 그때부터 전환한다”고 한 게 전부다.
하지만 이 말은 최근 또 바뀌고 있다.
© News1
김 총리는 “우선 전국 256개 선별진료소에서 신속항원검사가 가능하도록 조치”하고 “설 연휴 기간동안 빈틈없이 준비해, 2월 3일부터는 전국의 호흡기 전담 클리닉 431개소와 지정된 동네 병·의원으로 확대 시행하겠다”고 밝혔다. 당초 손 반장이 말한 시점보다 시작 시점이 5일 앞당겨진 셈이다.
이같은 혼란으로 인한 피해는 고스란히 국민들의 몫이 될 가능성이 높다. 기준이 바뀐 후 카카오톡 등의 인터넷 플랫폼의 입장을 위한 QR코드에서 2차 후 90일이 넘은 사람들은 ‘미접종자’로 표기됐다. 방역패스 효력이 남아 있다는 것을 보여주려면 질병청 쿠브앱으로 다시 들어가야 한다. 얼마 전만 해도 2차접종을 접종완료(기본접종)로 간주했고 2차 후 90일 경과 후부터 3차접종을 받을 수 있다고 한 당국이 며칠새 말을 바꾼 결과다.
또 김부겸 총리의 말대로라면 동네 병의원의 신속항원검사나 재택치료 관리 참여 등의 업무 준비는 서둘러야 하는 상황이 됐다. 막연히 설 이후라고 생각했다가 발등에 불이 떨어진 셈인데, 서둘러야 하는 것은 맞지만 아직 ‘서울형의원급 재택치료’ 등 여러 모델의 시도와 평가도 마치지 못한 상황에서 강행하게 되면 현장의 불만과 국민들의 혼란은 극에 달할 것으로 전망된다.
(서울=뉴스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