방역 당국이 앞으로 재택치료 환자를 집중관리군(60세 이상과 50세 이상 고위험·기저질환자)과 일반관리군 환자로 나눠 집중관리 환자 중심의 건강모니터링에 나선다고 밝힌 7일 오후 경기도 성남시 수정구 성남시의료원 재택치료상황실에서 의료진들이 재택치료자 모니터링을 하고 있다. 2022.2.7/뉴스1 © News1
특히 이른바 ‘셀프 격리’를 해야할 일반관리군으로 분류된 확진자들은 증상 발현 등 예기치 못한 상황 발생 시 적절한 대처 등에 대한 걱정을 쏟아내고 있다.
8일 방역당국에 따르면 이날 0시 기준 코로나19 확진에 따른 재택치료자는 15만9169명이다. 이는 당국이 관리할 수 있는 재택치료자 수(561개 기관, 17만3000명)의 92%에 해당하는 수치다.
이에 정부는 지난 7일 재택치료자 중 60세 이상 확진자·기저질환이 있는 50세 이상 확진자 등을 ‘집중관리군’, 이외 경증·무증상 확진자를 ‘일반관리군’으로 분류해 관리한다는 방침을 내놨다. 적용시기는 오는 10일부터다.
재택치료자가 폭증하는 상태에서 효율적인 의료인력 투입을 위한 불가피한 조치라는 게 당국 설명이다.
© News1
그러나 현장에서는 급작스러운 시스템 개편을 쫓아가지 못하는 상황이다.
여기에 재택치료 확진자들이 상황에 따라 대처해야할 행동 요령 또한 세밀하지 못하다는 지적도 나온다.
갑작스런 증상 발현 시 동네 병의원에 전화를 하면 실제 진료를 받을 수 있는 것인지, 상담센터에 문의하면 의료기관으로 연결해 주는 것인지, 상담 후에는 어떻게 대처해야하는 것인지 등 재택치료 중 발생할 수 있는 여러 상황에 따른 정보가 정립돼 있지 않다는 것이다.
충북 청주시에서 재택치료 중인 A씨는 “그동안 보건소에서 전화로 건강 상태를 확인해줬는데 이제는 스스로 해야 하는 상황이어서 걱정이 많다”라며 “아무래도 전문가와 보는 시점이 다를 수 있기 때문”이라고 우려했다.
서울 종로구 탑골공원 담벼락에서 만난 70대 독거노인 B씨는 “불안하지만 어쩔 수 없다. 이제는 내 몸 내가 챙겨야 한다”며 “(코로나19 백신을) 3차까지 맞았는데 앞으로도 접종 잘 하고 (기저질환) 약을 잘 챙겨 먹는 수밖에 없다”고 말했다.
독거노인들은 60대 이상 고령층으로 모니터링 대상이지만 혼자 사는 만큼 즉각적인 대응이 어려울 수 있다. 정부는 독거노인의 경우 보건당국에 약품배송 등을 요청할 수 있도록 할 방침이다.
만성 폐쇄성 호흡기 질환을 진단받은 30대 C씨(여)는 “걸리면 바로 숨 쉬는데 지장이 생길 것 같은데 알아서 병원에 가라니 생각만 해도 무섭다”며 “확진자를 바로 받아주는 병원이 있을지도 모르겠다”고 토로했다. 이어 “만약 제때 치료를 받지 못해서 잘못되면 누가 책임져주나”며 “젊은층이라도 건강 상태에 따라 다르게 대처해야 하는 거 아니냐”고 꼬집었다.
이동현 홈리스행동 상임활동가는 “현재 지침상 감염에 취약한 주거환경에 있는 밀접접촉자에 대한 언급이 없다”며 “확진자뿐 아니라 밀접접촉자에게도 이 같은 주거제공이 돼야 한다”고 강조했다.
종로구 돈의동 쪽방촌 활동가인 최봉명 돈의동주민협동회 간사는 “가보지 않은 길이라 주시할 필요가 있다”며 “현장의 문제점들을 신속히 반영할 수 있는 소통체계가 필요할 것”이라고 말했다.
이재갑 한림대 성심병원 감염내과 교수는 8일 한 라디오 프로그램에 출연해 “20대에서 50대 사이 확진자 중 자기 상황을 어필, 의사소통 못 하면 그냥 방치될 수 있는 게 큰 문제”라고 말했다.
백순영 가톨릭대 의대 명예교수도 “동네 병·의원의 비대면 진료에 시의적절하게 대응해줄 수 있느냐에 달렸다. 한마디로 전화하면 빨리 연결돼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어 “진행하던 정기적 모니터링을 조만간 중단한다는 건 문제다. 필요 시 대응해야 한다”며 “각 지방자치단체 내 방역의료 체계 역량의 보완이 필요해 보인다”고 부연했다.
(전국=뉴스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