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로나19 고위험군만 집중적으로 치료하는 새로운 재택치료 체계가 10일부터 시행됐다. 정부는 재택치료 환자 140명까지 관리가 가능할 것으로 예측하며 “환자를 방치하는 게 아니다”라고 해명했다.
이날부터 ‘60세 이상·치료제 투약 대상자 중 지자체가 집중관리가 필요하다고 판단하는 자’만 의료기관의 건강 모니터링을 받을 수 있다. 일반 환자들은 의료기관의 전화 모니터링 없이 격리 중 증상이 악화되면 스스로 동네의원 등에 전화해 비대면 진료를 받아야 한다.
최종균 중앙사고수습본부(중수본) 재택치료 반장은 이날 오전 기자단 설명회에서 “신규 배정자 중 94%가 재택치료 환자로 분류됐고, 나머지 6%는 입원이나 입소자로 분류된다”고 밝혔다.
정부는 이번 재택치료 체계 전환으로 관리 가능 인원이 현재 약 19만명에서 최대 140만명 수준까지 늘어날 것으로 전망했다.
최 반장은 “일일 확진자가 20만명인데, 재택치료 환자 배정이 대략 90%이니 19~20만명 정도될 것”이라며 “7일간 자가격리로 계산하면 140만명 정도이지 않을까 싶다”고 말했다.
정부는 일반관리군 환자에게는 별도의 모니터링을 실시하지 않는 이번 개편이 ‘환자 방치’가 아니라고 강조했다.
최 반장은 “보건소에서 무책임하게 다 재택치료로 보내는 게 아니라 항암치료 받거나 조절되지 않는 당뇨가 있으면 입원 또는 입소로 분류한다”며 “일반관리군은 일반 의료기관에서 전화상담과 처방을 받는다. 방치가 된 게 아닌데 방치라고 말하면 저희 체계의 내용을 제대로 반영한 것이 아니라고 생각한다”고 했다.
전화 상담 방식으로 비대면 상담·처방이 가능한 의료기관은 건강보험심사평가원(심평원) 누리집에 시행 당일인 이날 오전 공개됐다. 동네 병의원 등 의료기관 2484개소, 지정약국 472개소다.
이날 기준 재택치료 환자는 17만4177명이다. 전국 재택치료 관리의료기관 608개소에서 관리 가능한 최대 인원 18만9000명의 92.2%에 달한다. 정부는 집중관리군 22만명까지 관리할 수 있도록 재택치료 관리의료기관을 확충한다는 방침이다.
[서울=뉴시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