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가 당초 예측보다 빠르게 진행되는 급격한 고령화, 초저출산 문제와 생산연령인구 감소 등에 대응하기 위해 이달 중 제4기 인구정책 태스크포스(TF)를 출범한다.
저출산 문제 해소를 위해 결혼·출산 인센티브를 강화하고, 급격한 고령화로 국민연금이 조기소진되지 않도록 개선 방안을 검토한다. 생산연령인구 확충을 위해 여성·고령층 고용 활성화와 신기술분야 청년 인재 양성 방안을 추진한다.
정부는 10일 홍남기 경제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 주재로 열린 비상경제 중앙대책본부 회의에서 이 같은 내용의 ‘제4기 인구정책 TF 주요분야 및 논의방향’을 상정해 발표했다.
◆합계출산율 5년내 0.61명까지 추락…생산연령·학령·병역 인구 감소
정부에 따르면 장래인구추계 결과 생산연령인구 감소폭이 기존 전망보다 확대돼 학령인구·병역자원 감소 등 축소사회 가시화, 베이비붐 세대 고령층 진입 이후 급격한 고령화 등이 진행될 것으로 보인다.
코로나19 장기화와 경제·사회구조 및 가치관 변화 등으로 향후 저출산 추이는 더욱 악화될 가능성이 높다.
중위추계시 합계출산율은 2024년 0.70이 저점이지만 인구변동요인을 가장 낮게 잡아 추계하면 2025년 0.61까지 하락할 것으로 전망된다.
생산연령인구는 매년 30만~40만명씩 감소하고, 2036년에는 61만3000명까지 감소폭이 커질 것으로 보인다. 2020년 3737만명이 넘던 생산연령인구는 2040년 2852만명으로 900만명 가까이 줄고, 2070년에는 2000만명이 감소하며 1736만명 수준에 그칠 전망이다.
◆5년간 9.5조 패키지 지원…결혼·출산 인센티브 강력 보완
정부는 코로나19로 더욱 악화된 저출산 추세를 단기간 반등시키기 위해 올해부터 2025년까지 5년간 9조5000억원을 투입한다.
부부가 육아휴직을 사용하면 3개월씩 통상임금의 100%(월 최대 300만원)를 지원한다. 월 30만원의 0~1세 영아수당을 지급하고 20205년까지 단계적으로 50만원까지 확대한다.
특히 4기 인구TF에서는 결혼과 출산을 고민 중인 청년층에 대한 인센티브를 강력 보완할 방안을 논의한다. 결혼과 출산에 차별적인 세제·금융제도를 개선하고, 난임가정 지원 등을 확대하는 방식이다.
부부 육아유직 활성화와 육아·돌봄 지원 확대 강화 등을 통한 영아기 집중 투자 보완 방안도 마련한다.
중앙정부와 지방자치단체 간 협업을 통해 결혼·출산 지원 혜택을 재정비하고, 중장기적으로 다양한 가족형태에 대한 수용성을 높이는 방안과 일자리·주거·교육·근로환경 등 구조적 문제를 해결할 방도 고민할 계획이다.
◆10년 뒤 노년부양비 두 배 증가…국민연금 수익성 향상 방안 검토
2020년 베이비붐 세대(1955~1963년생, 710만명)의 고령층 진입 이후 2025년 초고령사회 진입 등 세계에서 가장 빠르게 고령화가 진행되고 있다. 노년부양비가 2033년까지 약 2배, 2070년에는 약 5배 증가할 것으로 전망된다.
4대 공적연금(국민연금, 공무원연금, 사학연금, 군인연금)은 2040년부터 적자 전환이 전망되고, 건강보험의 경우 적립금 축소가 예상된다.
4기 인구TF는 중장기 재정운용계획 수립시 저출산·고령화 등 인구구조 변화를 반영하는 방안을 논의한다. 고갈 우려가 제기되는 국민연금은 기금 수익률을 높이고, 필요할 경우 국민연금 2023년 제5차 재정계산과 연계해 제도를 개선하는 방안도 검토한다.
건강보험은 불필요한 지출요인을 관리하고 질병 예방으로 의료 수요를 미리 억제하는 방향으로 정책을 수립할 방침이다.
인공지능(AI)·정보기술(IT) 등 신기술을 활용한 의료·요양·돌봄서비스 공급 능력을 혁신하고, 노인 돌봄 분야 요양과 간호 인력에 대한 전반적인 처우개선과 확충 방안을 마련한다.
장기적으로는 노후소득보장을 위해 퇴직연금·개인연금 역할을 확대, 충분치 않은 공적연금을 보완하는 등 다층적 노후소득보장 강화 방안과 연계하는 대책을 찾는다.
정부는 인구 충격 현실화 시점에 따른 시급성을 감안해 분야·과제별 대응시기를 5년내 대응이 시급한 단기, 10년내 성과가 필요한 중기, 10년 후 충격이 가시화되는 장기 등 3단계로 구분해 맞춤형 대응전략 수립할 예정이다.
기재부 1차관을 팀장으로, 관계부처 1급이 팀원으로 참여하는 제4기 범부처 인구정책 TF를 2월중으로 출범시켜 작업반 논의, 전문가 간담회 등을 거쳐 각 분야별 전략과 세부대책들을 7월 이후부터 순차적으로 발표하기로 했다.
[세종=뉴시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