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트렌드 생활정보 International edition 매체

자가검사키트 13일부터 온라인에서 못 산다… 1인당 구매수량도 제한

입력 | 2022-02-11 03:00:00

셀프치료 첫날 정부 준비부족에 혼란



약국엔 ‘자가진단키트 품절’… 병원 앞엔 진료대기 행렬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고위험군이 아닌 일반관리군 확진자는 ‘셀프 치료’를 하도록 하는 재택치료 체계가 10일 새로 도입된 가운데 이날 서울 강남구의 한 약국에 자가검사키트가 품절됐음을 알리는 안내문이 붙어 있다. 옆으로는 호흡기클리닉을 찾은 시민들이 병원 밖에서 진료를 기다리고 있다. 김재명 기자 base@donga.com


60세 미만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환자의 ‘셀프 재택치료’가 10일 시작됐다. 시행 첫날부터 방역당국의 부실한 의료기관 안내와 원칙 없는 진료비 때문에 시민들이 큰 불편을 겪었다.

이날 0시 기준 국내 코로나19 신규 확진자는 5만4122명으로 처음 5만 명을 넘어섰다. 재택치료자도 17만4177명으로 가장 많았다. 정부는 이날부터 재택치료자의 약 15%에 해당하는 고위험군만 하루 2회 건강 모니터링을 하고 나머지 환자의 모니터링은 중단했다.

‘셀프 치료’ 상황에 놓인 재택치료 환자들은 어느 의료기관으로 연락할지 찾는 데 애를 먹었다. 정부는 건강보험심사평가원 홈페이지에 전화 상담과 처방이 가능한 동네 병의원 1900곳을 공개했다. 하지만 주소나 지도 없이 엑셀 파일로 시군구, 병원명, 전화번호만 올려 환자들이 인근 병의원을 찾으려면 일일이 전화나 검색을 해야 했다. 코로나19 의심환자 진료를 병행하는 ‘호흡기전담클리닉’과 야간 상담이 가능한 ‘재택치료 의료상담센터’ 명단도 올라왔지만 어떤 상황에 각 기관을 갈 수 있는지에 대한 설명이 없었다.

정부는 대면 진료를 받을 수 있는 ‘외래진료센터’의 경우 관할 보건소에 문의하도록 했다. 환자는 보건소와 연락이 닿지 않으면 센터를 확인할 방법이 없는데, 상당수 보건소 안내전화는 온종일 통화 중이었다.

정부는 재택치료자의 비대면 진료 비용에 대해서도 우왕좌왕했다. 이날 오전에는 재택치료자들이 전화 상담 및 처방을 할 때 하루 두 번 이상 진료를 받으면 두 번째부터 진료비를 내야 한다고 밝혔다. 오후에는 이를 철회하고 무상 진료라고 했다.

정부는 13일부터 자가검사키트 판매를 온라인에서는 금지하고 약국과 편의점에만 허용하기로 했다. 1인당 구매 수량을 제한하고 판매가격 범위를 정하는 방안도 추진한다. 원활한 공급을 위해서라지만 급증하는 재택치료자나 자가격리자의 온라인 구매를 막을 수 있다는 우려가 나온다. 어린이집과 노인복지시설 등의 216만 명에게는 21일부터 주당 1, 2회분의 자가검사키트를 배포하기로 했다.

한편 질병관리청은 14일부터 노바백스 백신 접종을 시작한다. 18세 이상이면 누구나 당일 예약이나 의료기관을 통한 잔여 백신으로 접종할 수 있다.



“혼자 사는데 확진, 약없이 버텨”… “병원서 ‘진료기록 없다’ 거절”

[오미크론 대확산] ‘셀프 치료’ 첫날… 확진자들 혼란

서울 송파구에 사는 안모 씨(30)는 8일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확진 판정을 받은 직후 기침과 가래 증상이 심했지만 확진 3일 차인 10일까지도 병원 진료를 받지 못했다.

보건소는 대면 진료를 할 수 있는 외래진료센터 2곳을 전화로 알려줬지만 가까운 곳이 2.7km 거리다 보니 자동차가 없는 안 씨는 방문할 엄두를 내지 못했다. 비대면 진료를 받을 수 있는 동네 병·의원에 대한 안내는 전혀 없었다. 안 씨는 “가족과 떨어져 혼자 살고 있는데 상비약도 없어서 그냥 버티고만 있다”며 한숨을 쉬었다.
○ 비대면 진료 거부당해 ‘자체 처방’
정부가 10일부터 새로운 재택치료 체계를 도입했지만 관련 안내가 제대로 이뤄지지 않으면서 재택치료자들의 혼란이 심각한 상황이다. 특히 방역 당국의 모니터링이 중단된 만 60세 미만 ‘일반관리군’ 확진자 상당수는 비대면 진료를 받을 수 있는 동네 병·의원이 어딘지 모르겠다고 입을 모았다.

정부는 건강보험심사평가원(심평원)이나 보건복지부 홈페이지에서 비대면 진료 가능 병원 명단을 확인할 수 있다고 했지만 이 사실 자체를 모르는 재택치료자가 적지 않다. 정부는 포털 사이트에서 검색하면 된다고 했지만 “비대면 진료 동네 병원” “전화상담 처방 동네 병원” 등으로 검색해도 제대로 된 정보는 찾기 어렵다. 9일 확진 판정을 받은 이모 씨(59)는 “키워드를 바꾸며 여러 차례 검색했는데도 비대면 진료 동네 병원이 어딘지 찾지 못했다”며 “따로 사는 아들에게 부탁해 겨우 확인했다”고 토로했다.

일부 재택치료자는 비대면 진료를 거절당했다.

9일 확진 판정을 받은 박모 씨(54·서울 양천구)는 10일 발열이 심하고 호흡도 힘들어 비대면 진료가 가능하다는 병원에 연락했다. 그런데 “우리 병원에서 진료를 받은 기록이 없어 진료가 어렵다. 진료 받은 적이 있는 병원에 연락하라”는 답만 돌아왔다. 같은 날 확진된 취업준비생 이모 씨(25) 역시 “인후통이 심해져 비대면 진료 가능 목록에 있는 병원에 여러 차례 전화했지만 연결되지 않아 결국 집에 있는 상비약으로 ‘자체 처방’을 했다”면서 한숨을 쉬었다.

대면 진료를 받을 수 있는 외래진료센터 정보도 확인하기 힘들었다. 6일 확진 판정을 받은 정모 씨(28·서울 관악구)는 “외래진료센터는 어디서 찾아봐야 하는지 모르겠다”면서 “혼자 사는데 증상이 악화되면 어떻게 해야 할지 모르니 불안하고 무섭다”고 했다.
○ 진료 문의하자 “명단 잘못 올라갔다”
비대면 진료를 맡은 일부 동네 병원은 전화가 폭증해 제대로 된 진료를 하기가 어렵다고 토로했다. 서울 서초구의 한 호흡기 전담 클리닉은 “코로나19 검사를 위해 병원을 찾는 사람이 많은 데다 비대면 진료를 원하는 전화까지 몰린다”며 “비대면 진료는 30분에서 1시간 이상 기다려야 한다”고 했다. 전화가 몰리면서 아예 전화를 안 받는 병원도 적지 않았다.

심평원의 전화상담·처방 목록에 올라 있는 울산의 한 병원은 전화 진료가 가능한지 문의하자 “우리는 검사만 진행하고 있다”면서 “비대면 진료를 하겠다고 한 적이 없는데 목록에 잘못 올라간 것”이라고 했다.

진료 기관 종류가 지나치게 많은 것도 혼선을 가져오는 요인 중 하나다. 심평원 홈페이지에 올라온 의료기관만 호흡기 전담 클리닉, 호흡기 진료 지정 의료기관, 전화상담처방 동네 병·의원, 재택치료 의료상담센터, 재택치료 관리의료기관 등 5종류에 이른다. 한 재택치료자는 “종류가 워낙 많고 용어가 낯설어 어디에서 무슨 일을 하는지 도통 모르겠다”고 불만을 토로했다.



조건희 기자 becom@donga.com
이지윤 기자 asap@donga.com
조응형 기자 yesbro@donga.com
유채연 기자 ycy@donga.com
김윤이 기자 yunik@donga.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