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트렌드 생활정보 International edition 매체

“고시원 사는데 재택치료 어쩌나” “확진인데 보건소 연락 없어”

입력 | 2022-02-11 18:27:00


코로나19 오미크론 변이 확산에 따라 이른바 ‘셀프 관리’ 체계가 본격화한 가운데, 지침 변경에 따른 현장의 혼선은 첫날에 비해 잦아드는 모습이다. 다만, 신규 확진자가 폭발적으로 증가하면서 담당자와의 소통이 지연되는 등 시민 불편은 이어지고 있다.

11일 방역당국 등에 따르면 지난 10일부터 재택치료를 고위험군에 집중하는 체계가 가동됐다. 60세 이상 고위험군 등 ‘집중관리군’을 중심으로 건강 모니터링을 실시하고, 일반관리군은 정기 모니터링 없이 필요 시 의료기관 전화 상담과 처방을 중심으로 관리한다.

재택치료 관리체계 전환 이틀째인 이날 확진자 폭증에 따른 일선의 과부하와 이로 인한 시민 불편은 이어지고 있는 모습이다. 잦은 지침 변경에 보건소 등에 문의할 일이 많아졌는데, 소통이 지연되는 경우가 많다고 한다.

한 온라인 커뮤니티에는 수도권 고시원에 살고 있는 감염 취약 거주자가 담당자와 연락이 안 돼 불안을 호소하는 글이 올라왔다. 해당 네티즌은 이날 오전 PCR 검사 결과 양성 판정을 받았는데, 추후 연락이 있을 때까지 자가 격리를 하라는 안내만을 받았다고 한다.

화장실 등 공간을 공동 사용하는 만큼 재택치료가 불가능하다는 그는 “수도권은 현재 코로나 업무가 마비된 건지 담당관님과 연락도 잘 안 닿는 상황”이라며 “생활치료센터만이라도 들어가고 싶다”고 적었다.

자신을 확진 2일 차라고 밝힌 한 네티즌은 보건소에서 아무 연락이 없다며 “재택치료가 아니라 재택방치”라고 블로그에 썼다. 신속항원검사키트(자가진단키트)를 찾는 이들이 늘어나면서 이를 구매하기 어렵다는 이들도 다수다.

의료 현장에서의 혼란은 첫날에 비해 다소 수습되는 모양새다. 첫날의 경우 재택치료 대상자 수에 비해 상담 의료기관으로 지정된 곳들이 부족해 상담 전화 등이 폭주해 연결이 지연되거나 불발된 것으로 알려졌다. 상담을 담당하는 의료진들도 전화 상담으로는 한계가 있다는 목소리를 내기도 했다.

코로나19 재택치료 관리체계 전환 첫날인 지난 10일 3만4620명이 재택치료 중 이른바 ‘셀프 관리’해야 하는 일반관리군으로 분류된 것으로 나타났다. 일반관리군 전화 상담·처방을 맡는 의료기관은 3925곳으로 파악됐다.

서울의 한 재택치료 의료상담센터 관계자는 뉴시스와 통화에서 “의사 5명, 간호사 40명, 12대 전화기로 대응 중”이라며 “아직까지 큰 혼란 없이 운영되고 있다. 상담이 밀리거나 하는 일도 현재까지는 없는 걸로 파악되고 있다”고 전했다. 또 다른 호흡기 전담클리닉 관계자도 “오늘 확진자 두 분을 비대면으로 진료했는데, 큰 혼선은 없었다”고 했다.

한편 현장의 혼선과 관련해 김부겸 국무총리는 “속도와 효율에 방점을 두고, 지난 2년간 만들어온 방역·의료 전반을 혁신하다 보니, 일각에서 오해와 혼선이 있는 것도 사실”이라면서도 “정부가 아파하는 국민들을 외면하거나 손을 놓거나 하는 일은 결코 있을 수 없다”고 강조했다.

[서울=뉴시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