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2일 오전 서울 종로구보건소에 마련된 코로나19 신속항원검사소에서 시민들이 자가검사 키트를 이용해 검사를 하고 있다. 2022.2.2/뉴스1
최근 경기도에 사는 A씨(20대)는 직장 동료들이 하나둘 확진되자 직접 진단키트 검사를 하기 시작했다. 지난 7일부터 10일까지 총 7차례 키트 검사를 한 결과 모두 음성 판정을 받았다.
하지만 회사 동료 외 지인도 확진 판정을 받자 불안한 마음에 진행한 마지막 8번째 진단키트 검사에서 두 줄이 떴다. 결국 A씨는 11일 오전 보건소로부터 최종 확진 판정을 받고 일주일 동안 재택치료에 들어갔다.
문제는 일주일 사이 A씨와 접촉한 사람이 적지 않다는 것이다. 고위험군을 위주로 치료 역량을 집중시킨 보건당국이 정작 방역 공백을 불렀다는 비판이 제기된다.
하지만 시민들 사이에서는 정확도가 떨어지는 자가진단키트를 신뢰할 수 없다는 반응이 커지고 있다.
A씨 등 진단키트를 이용한 사람들은 “의료진이 코에 면봉을 깊숙하게 문지르는 PCR 검사와 달리 키트 검사는 자기가 직접 하기 때문에 현실적으로 깊게 넣지 못한다”고 불만을 터뜨리고 있다.
수원에 거주하는 B씨(20대)도 설 연휴를 가족과 지내고 귀가한 후로 몸이 아프기 시작했다.
그의 가족 4명이 모두 확진 판정을 받아 PCR 검사를 받으려 했지만, 보건소 측의 ‘가족과 만난 지 이틀이 지나 밀접접촉자에 해당되지 않는다’는 답변에 신속항원검사만 받을 수 있었다. 결과는 음성이었다.
그 사이 B씨와 함께 식사한 C씨와 D씨는 선별진료소에 들렀지만, 보건소는 밀접 접촉자 여부를 확인할 수 없어 PCR 검사를 받을 수 없다고 전했다.
엎친데 덮친격으로 인근 병원에선 PCR 검사 키트 물량이 소진됐다며 C씨와 D씨를 돌려보내기도 했다.
바뀐 재택치료 방식도 혼란을 부추기고 있다. 재택치료자들은 ‘집중관리군’, ‘일반관리군’의 명칭으로 각기 달라진 치료 체계를 이해하는 데 어려움을 겪고 있다.
동거가족이 있는 재택치료자는 가족이 대신해 생필품을 살 수 있지만, 1인 일반관리군은 온라인 말고는 구매 방법이 따로 없는 상황이다.
그는 “지금 인후통과 마른 기침 증상이 있어 감기약으로 버티고 있다”며 “앞으로 증세가 더 나빠질 수도 있을 것 같다. 아무런 조치 없이 방치될까봐 걱정된다”고 말했다.
일반관리군 중에서도 상태가 위급해지면 보건소에 진료를 문의해야 한다. 하지만 온라인 커뮤니티 등에서는 보건소마다 연락이 되지 않아 노심초사하는 재택치료자들의 사연이 잇따르고 있다.
혼란스러운 상황과 달리 정부는 전환된 방역 체계 작업이 순조롭게 진행되고 있다고 주장했다.
김부겸 국무총리는 11일 코로나19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 회의에서 “방역의료 전반을 혁신하다 보니 일각에서 혼선이 있는 것은 사실”이라면서도 “오미크론에 맞게 위중증 환자를 중심으로 역량을 집중하되, 나머지 국민에게도 적절한 의료 서비스가 제공되고 있다”고 말했다.
재택치료 의료상담센터 및 외래진료센터에 대한 자세한 정보는 ‘건강보험심사평가원’에서 확인할 수 있다.
(부산=뉴스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