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재인 대통령이 18일 열린 낙동강 하구 기수생태계 복원 성과보고회에 영상으로 축사를 전하고 있다. 청와대 제공
문재인 대통령은 지난 18일 낙동강 하굿둑 개방과 관련, “농업용수 등 취수 활동이 피해를 입지 않도록 취수구 개선사업에 만전을 기해주기 바란다”며 “차후 금강 등 타수계 둑 개방논의와 관련해서도 세심하게 살펴 대비해달라”고 주문했다.
박수현 청와대 국민소통수석은 20일 오전 자신의 페이스북에 ‘브리핑에 없는 대통령 이야기’ 39번째 글을 올려 이같이 밝혔다. 낙동강 하굿둑 개방과 관련해 문 대통령의 가장 중요한 관심사가 지역 주민들의 용수 확보와 염분 피해 방지라는 점을 강조한 것이다.
박 수석은 “낙동강 하구는 다양한 기수 어종과 재첩이 잡히고 매년 철새들이 와서 머물다 가는 생태의 보고였다”며 “문 대통령도 유년 시절 낙동강 하구에서 잡은 재첩국을 먹고 자랐다. 지금도 부산의 대표 음식에 대한 이야기가 나올 대면 문 대통령이 한 번씩 상기하는 것이 바로 이 재첩국”이라고 밝혔다.
1987년 낙동강 하굿둑 건설 당시에는 생활·농업용수 공급과 교통망 신설이 더 중요한 문제였다면 최근 10년 동안에는 낙동강 하구 생태계 복원이 지역경제와 주민의 삶에 더 도움이 된다는 방향으로 인식이 전환됐다는 것이다.
박 수석에 따르면 문 대통령은 19대 국회 의정활동 중 관련 연구용역을 살려내고 국회 토론회를 여는 등 적극적으로 나섰으며 낙동강 현장을 직접 방문해 오염실태를 두고 설전을 벌이기도 했다.
문 대통령은 당시 낙동강 녹조 피해 원인을 ‘폭염’으로 돌린 수자원공사 사장 대행에게 “폭염이 되더라도, 강우량이 적어지더라도 (강이) 감당할 수 있게 만들어야 한다”며 “앞으로 (기후환경의 변화로) 폭염은 계속될 건데 언제까지 기상 핑계를 댈 겁니까”라고 지적했다.
취임 이후에는 국정과제로 ‘4대강 재자연화’가 추진됐다. 정부는 낙동강 수문개방 실증실험을 준비해 2019년~2020년 2년 동안 해수유입 실증실험을 수행했고, 2021년 계절별로 4차례에 걸쳐 장기 수문개방을 실시했다. 올해는 처음으로 바다 수위가 하천 수위보다 높은 대조기에 수문을 열어 기수역을 조성한 것이다.
(서울=뉴스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