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트렌드 생활정보 International edition 매체

확진 아기 병원 찾아 헤매다…수원→안산 이송, 끝내 숨져

입력 | 2022-02-21 03:00:00

구멍 뚫린 ‘재택 셀프치료’




기사와 관련없는 자료사진. 뉴스1

경기 수원시 장안구에 사는 A 군(생후 7개월)은 16일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확진 판정을 받았다. 함께 확진된 부모와 재택 치료를 받던 A 군은 18일 오후 8시 33분경 갑자기 경기를 일으켰다. 부모가 119에 신고한 지 6분 만에 구급대원이 도착했지만 A 군은 이미 심정지 상태였다.

구급대원들은 A 군을 구급차에 태운 뒤 심폐소생술을 시도하며 병원을 수소문했다. 하지만 인근 병원은 모두 “코로나19 중증 환자가 많아 병상이 없다”며 거절했고, 결국 17km 떨어진 경기 안산의 한 대학병원으로 이송했다. 오후 9시 17분경 병원 도착 후 의료진이 약 20분간 더 심폐소생술을 실시했지만 끝내 회복하지 못했다.


○ 허점 노출된 셀프 치료

정부가 10일부터 재택 치료 모니터링 대상자를 60세 이상 등 집중관리군으로 한정하면서 무증상 및 경증 환자들은 ‘셀프 치료’를 하는 상황이다. 그러다 보니 A 군처럼 재택 치료 중 적절한 의료조치를 못 받은 채 사망하는 사례가 이어지고 있다.

서울 관악구 봉천동에 사는 B 씨(59)는 17일 관악구의 한 병원 응급실을 찾아 코로나19 검사를 받았다. 확진 판정 후 가족들을 집에서 내보내고 재택 셀프 치료에 들어갔다. 18일 오전 9시 40분경 B 씨는 가족과 통화하며 “몸이 좋지 않다”고 호소했다. 하지만 관악구 보건소는 오후 1시 반이 돼서야 B 씨에게 처음 연락했다. 보건소 측은 기초역학조사 안내를 위해 다음 날 오전까지 총 4차례 전화했지만 연결되지 않았다. 결국 가족이 19일 오전 “연락이 안 된다”며 119에 신고했고, B 씨는 사망 상태로 발견됐다.

관악구 보건소도 B 씨를 주시했지만 사망을 막진 못했다. 확진 후 보건소와 한 번도 연락되지 않은 B 씨는 사망 시점까지 ‘집중관리군’ 분류 여부조차 정해지지 않았다. 보건소가 사망을 알게 된 것은 경찰이 사망 사실을 통보한 19일 오전 10시경이었다.

일반관리군의 경우 동네 병·의원에서 비대면 진료 및 처방을 받거나 지방자치단체의 24시간 의료상담센터에서 상담을 받을 수 있다. 상태가 악화돼 응급 상황이 생기면 119로 연락하면 되기 때문에 의료 공백은 없다는 게 정부 입장이다. 하지만 B 씨는 확진 판정 직후 상태가 빠르게 악화되면서 어떤 조치도 취하지 못한 것으로 추정된다. 서울의 한 구청 관계자는 “하루 1000명 내외의 확진자가 나오다 보니 일반관리군까지 세세하게 관리하는 것은 현실적으로 어렵다”고 했다.

보건소 등에 연결이 어려워 재택치료 상담이 119로 몰리는 ‘풍선 효과’도 발생하고 있다. 광주시 소방안전본부에 따르면 재택 치료자의 119 상담 건수는 지난해 12월 394명에서 이달 15일 기준 850명으로 급증했다. 화재 등 대응에 차질이 우려되자 광주시 소방안전본부는 20일 “일반관리군은 지자체 ‘의료상담센터’나 ‘행정안내센터’를 통해 상담을 받아달라”고 당부했다.

재택 치료 중 무단이탈 사례도 늘고 있다. 특히 9일부터 재택치료자의 위치 추적이 가능한 자가 격리 애플리케이션 사용이 중단되면서 확진자들이 거리를 누벼도 방역당국이 파악하기 어려워졌다. 15일 재택 치료 중 찜질방에 갔다가 사망한 인천의 70대 남성의 경우 방역당국은 구급대 연락을 받기 전까지 무단이탈 사실조차 파악하지 못했다.


○ ‘위드 코로나’ 초기보다 사망자 늘어
전문가들은 현재 각종 방역 지표가 지난해 11월과 비슷하거나 오히려 더 나쁘다는 점을 우려하고 있다. 최근 일주일(14∼20일) 동안 하루 평균 코로나19 사망자 수는 324명으로, 지난해 ‘위드 코로나’ 후 첫 일주일(지난해 11월 1∼7일) 평균치(118명)의 2.7배나 된다.

중환자 병상이 빠르게 소진되고 있다는 점도 위기 신호다. 13일까지만 해도 22.2%이던 중환자 병상 가동률은 한 주 만에 32.5%로 뛰어올랐다. 확진자와 중환자 증가 사이에 2, 3주 시차가 있다는 걸 감안하면 앞으로 중환자 증가세는 더 가팔라질 것으로 보인다.


이소정 기자 sojee@donga.com
광주=이형주 기자 peneye09@donga.com
이지운 기자 easy@donga.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