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트렌드 생활정보 International edition 매체

2030 무주택 미혼 77% “내 집 꼭 있어야”…“10년 가능” 43%그쳐

입력 | 2022-02-23 11:24:00

서울 송파구 롯데월드타워 서울스카이에서 바라본 강남 아파트 단지 모습. 2022.2.18/뉴스1


2030 미혼 청년 10명 가운데 7명은 부모와 같이 살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 부모로부터 독립하는 경우 나이는 평균 23.5세였으며, 직장이나 학교·학원과의 거리가 독립을 선택하는 주원인인 것으로 조사됐다.

무주택 미혼 청년 10명 중 8명 정도는 내 집을 꼭 마련하겠다는 생각을 갖고 있었지만, 10년 이내에 집을 마련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 청년은 10명 중 4명 정도에 불과했다. 이들은 또 신규주택 공급 확대를 가장 서둘러야 할 정부 주거정책으로 꼽았다.

국토연구원은 23일(오늘) 이런 내용을 담은 보고서 ‘국토이슈리포트-2030 미혼 청년의 주거여건과 주거인식’을 내놨다. 보고서는 전국에 거주하는 만 20세 이상 39세 이하 미혼 청년 3009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설문조사 결과를 토대로 작성됐다. 조사는 지난해 9월17일부터 28일까지 컴퓨터를 활용한 웹과 모바일을 통해 진행됐다.


● 미혼 청년 10명 중 7명은 부모와 동거
보고서에 따르면 응답자의 65.8%는 현재 부모와 동거 중이었다. 이들 중 가장 많은 38.4%가 20~24세였고, 25~29세((35.0%)가 뒤를 이었다. 부모와 동거 중인 미혼 청년은 직장인(36.9%) 학생(33.4%) 취업준비생 및 수험생(16.2%) 등의 순으로 나타났다. 반면 부모로부터 독립한 미혼 청년의 절반 이상은 직장인(59.6%)이었다.

응답자의 소득수준은 100만 원 미만이 35.8%로 가장 많았다. 특히 부모와 동거 중인 경우 절반 정도는 소득이 100만 원 미만(43.2%)이었다. 반면 부모로부터 독립한 응답자는 200만~250만 원 미만이 가장 많은 비율(23.2%)을 차지했다.

부모와 따로 살고 있는 응답자들은 직장과의 거리(31.2%)나 학교·학원과의 거리(28.9%)를 독립을 결정한 가장 큰 이유로 꼽았다. 이들이 부모로부터 독립을 결정한 나이는 평균 23.5세였다.

독립한 미혼 응답자들이 거주하는 주택 유형은 연립·다세대(36.5%)가 가장 많았고, 아파트(25.3%) 오피스텔(17.5%) 단독주택(15.2%)의 순으로 뒤를 이었다. 이들은 절반에 가까운 43.8%가 보증부 월세로 거주하고 있었다.

독립 미혼 응답자의 42.1%는 부모로부터 경제적인 지원을 받고 있었다. 연령별로는 20대의 절반 이상(51.1%)이, 30대는 31.2%가 부모의 도움에 의지했다. 지원은 주로 임차보증금(60.5%)에 사용됐다. 생활비를 받는 경우(18.4%)도 있었는데, 지원 규모는 월평균 55만 원 수준이었다.


● 무주택 미혼 청년 10명 중 8명은 내 집 마련 꿈
응답자의 14.6%는 본인 소유의 주택이 있었고, 나머지 무주택 응답자(2573명)의 77%는 “내 집을 꼭 소유하고 싶다”고 대답했다. 또 이들은 주택을 구입할 때 압도적으로 많은 수가 부모의 지원을 기대(81.3%)했다.

무주택 응답자의 42.6%는 본인의 소득과 자산을 고려했을 때 10년 이내에 집을 마련할 수 있을 것으로 예상했다. 10년 이내에 내 집 마련이 어려울 것으로 대답한 경우 60.3%는 일반 전월세 주택에 거주할 것으로 내다봤다. 공공임대주택을 선택한 응답자(37.6%)를 크게 웃도는 수치다.

응답자들은 공공임대주택에 대해 저렴한 주거비(66.5%)를 장점으로 꼽았다. 반면 단점으로는 ‘입주자격 제한으로 입주가 어렵다(27.9%)’거나 ‘공급이 너무 적어 경쟁률이 높다(27.1%)’, ‘주변환경이 좋지 않거나 면적 등 선택이 제한적이다(22.5%)’, ‘민간임대보다 품질이 나쁘고, 사회적 인식이 부정적이다(21.1%)’ 등 다양한 문제점들을 지적했다.

응답자들은 필요한 정부의 주거정책에 대해 5점 만점으로 점수를 부여한 조사에서 ‘신규주택 공급 확대를 통한 주택시장 안정화(3.9점)’를 가장 많이 꼽았다. 이어 ‘무주택 청년주거비 지원을 통한 주거비 경감(3.79점)’ ‘누구나 오래 거주할 수 있는 공공임대주택공급(3.71점)’ ‘세입자 권리 강화(3.58점)’ ‘새로운 형식의 분야주택 도입(3.49%)’의 순으로 뒤를 이었다.

반면 가장 시급한 정부 주거정책에 대해선 ‘공공임대주택(23.6%)’부터 ‘신규주택공급 확대(22.7%)’ ‘주거비지원(21.4%)’ 등에 이르기까지 다양하게 선택했다.


황재성 기자 jsonhng@donga.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