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아DB
지난해 국내 인구 1000명 당 자연증감을 나타내는 자연증가율이 관련 통계를 집계한 1970년 이후 처음으로 ―1명대로 주저앉았다. 합계출산율도 최저치인 0.81명으로 떨어졌다. 인구 감소폭이 점차 가팔라지면서 50년 뒤 국내 청년인구는 절반으로 줄고 나머지 절반은 62세 이상 노인이 차지할 것으로 전망됐다.
23일 통계청이 발표한 ‘2021년 출생·사망 통계’에 따르면 지난해 국내 인구는 5만7300명 자연감소했다. 출생아 수(26만500명)에서 사망자 수(31만7800명)를 뺀 수치다. 2020년 3만2611명 감소한 것과 비교해 인구 감소폭이 두 배 가까이 증가했다. 국내 인구는 2020년 사상 첫 자연감소를 기록한 이후 2년째 감소세를 이어갔다.
인구 감소폭이 가팔라지면서 지난해 인구 1000명 당 자연증감을 나타나내는 자연증가율인 ―1.1명으로 집계됐다. 관련 통계가 작성된 1970년 이래 처음으로 마이너스(―) 1명대로 진입한 것이다.
출생아 수가 급격히 줄면서 인구 감소 속도가 더 빨라지는 추세다. 지난해 연간 출생아 수는 1년 사이 1만 명 넘게 줄어 관련 통계가 작성된 1970년 이후 역대 최소치를 보였다. 여성 한 명이 평생 낳을 것으로 예상되는 평균 출생아 수인 합계출산율도 통계 작성 이래 최저치인 0.81명까지 떨어졌다. 이는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회원국 38개국 중 2019년 기준 가장 낮은 출산율이다. 같은 해 OECD 평균 출산율은 1.61명이다.
특히 국내 생산성의 가장 핵심 연령층인 청년인구(19~34세)는 2070년 500만 명 아래로 떨어지면서 2020년의 절반(45.5%) 수준으로 줄어든다. 반면, 같은 기간 나머지 절반을 차지하는 인구는 63세 이상 노인이 차지하게 된다.
통계청이 지난해 12월 ‘발표한 2020~2070년 장래인구추계’에 따르면 국내 총인구는 앞으로 10년간 연평균 약 6만 명씩 감소한다. 2030년에는 올해 총 인구 5175만 명보다 55만 명 감소한 5120만 명까지 줄고 2070년이 되면 3766만 명으로 쪼그라든다. 이는 1979년 수준으로 돌아가는 셈이다.
전체 인구가 줄고 고령화 추세가 가팔라지면서 정부는 올해 4기 인구정책 태스크포스(TF) 4기를 출범시켰다. 정년연장에 해당하는 고령자 계속고용제도 시행을 위해 사회적 논의를 시작하고 올해 0~1세 영아에게 영아 수당 30만 원을 지급하는 등 4조1000억 원 규모의 저출산 극복 5대 패키지 정책을 시행한다.
세종=김형민 기자 kalssam35@donga.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