러-우크라 전운, 한국 산업계 영향은
“반도체는 한 공정만 돌리지 못해도 전 공정이 멈춥니다. 네온, 크립톤 공급 차질에 대한 현장의 우려는 생각보다 더 심각한 상황입니다.”
러시아군의 우크라이나 파병 승인 직후인 23일 국내 반도체업계 관계자는 현장 분위기를 이렇게 전했다. 네온, 크립톤 등 특수가스는 사용량은 소량이지만 반도체 핵심 공정에 필수적인 소재다. 네온은 반도체 패턴 형성을 위한 레이저 발진에 쓰이고, 크립톤은 회로도를 남기고 나머지 부분을 깎는 식각 공정에 쓰인다.
전 세계 네온 사용량의 70%, 크립톤의 40%가 우크라이나에서 생산된다. 네온의 경우 주 생산국이 우크라이나, 러시아, 미국, 중국, 프랑스 5개국에 불과하다. 이 중 2곳에서 리스크가 불거진 것이다. 박재근 한국반도체디스플레이기술학회장은 “어떻게든 재고 확보를 최대한 해두고 대체 수입 경로를 뚫어야 한다”며 “정부가 특수가스 통관 절차를 간소화하는 등의 지원에 당장 나서야 한다”고 말했다.
에너지·화학 업계도 긴장하고 있다. 주요 화학 원자재인 나프타 공급망에도 차질이 예상되기 때문이다. 러시아는 지난해 기준 국내 원유 수입량에서는 5.8%만 차지했지만 나프타 수입량은 25%로 1위다. 나프타는 특수 가스와는 달리 생산국이 많아 수입처 다변화가 상대적으로 쉽긴 하다. 그러나 다른 나라들도 같은 상황에 몰려 있기 때문에 전반적인 가격 상승이 불 보듯 뻔한 상황이다. 러시아 수입 의존도가 높은 무연탄과 우라늄, 유연탄 등 다른 에너지원도 수급 불안정 우려가 큰 건 마찬가지다.
대(對)러시아 자동차 시장 위축과 철광석 가격 상승도 전망되고 있다. 자동차 업계는 2014년 러시아의 크림반도 강제 병합 사태 당시의 상황이 재연될까 봐 걱정하는 분위기다. 당시 서구권의 러시아에 대한 각종 제재로 2015년 대러시아 자동차 수출이 2014년 24억 달러(약 2조8000억 원)에서 9억 달러(약 1조 원) 규모로 62%나 줄어든 경험이 있어서다.
유가 및 핵심 원자재 가격 상승세가 전 세계적인 인플레이션을 확대시킬 것이란 우려도 나온다. 한국광해광업공단에 따르면 광물종합지수는 1월 평균 2971.46으로 전월 대비 10.5% 올랐다. 유연탄, 우라늄, 동, 니켈, 아연, 철광석 등 6개 전략 광종 모두 상승했다. 강천구 인하대 에너지자원공학과 교수는 “우크라이나 사태가 만약 진정된다 하더라도 광물 공급처들이 한번 올린 가격을 쉽게 내리지 않기 때문에 올해는 계속해서 가격이 높은 수준을 유지할 것”이라고 전망했다.
곽도영 기자 now@donga.com
세종=구특교 기자 kootg@donga.com
변종국 기자 bjk@donga.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