文대통령 3·1절 기념사 “日, 역사 앞에서 겸허해야… 남북대화 끊겨 한반도 평화 취약, 우리 역사 주도해 나갈 힘 가져야”
문재인 대통령(왼쪽)과 김정숙 여사가 1일 서울 서대문구 국립대한민국임시정부기념관에서 열린 제103주년 3·1절 기념식에서 참석자들과 만세삼창을 하며 태극기를 흔들고 있다. 문 대통령은 이날 기념사에서 “일본은 역사를 직시하고 역사 앞에 겸허해야 한다”고 말했다. 청와대사진기자단
문재인 대통령이 제103주년 3·1절을 맞아 “일본은 역사를 직시하고 역사 앞에서 겸허해야 한다”고 말했다. “일본이 선진국으로서 리더십을 가지기를 진심으로 바란다”고도 했다. 임기 말까지 한일 관계 경색 국면이 이어지는 데 대한 아쉬움을 토로하면서 과거사 문제에 대한 일본의 책임 있는 반성을 촉구한 것으로 풀이된다.
문 대통령은 1일 서울 서대문구 국립대한민국임시정부기념관에서 열린 임기 마지막 3·1절 기념사에서 “한때 불행했던 과거로 인해 때때로 덧나는 이웃 나라 국민의 상처를 공감할 수 있을 때 일본은 신뢰받는 나라가 될 것”이라고 말했다. 그러면서 “한일 양국의 협력은 미래 세대를 위한 현 세대의 책무”라며 “항상 대화의 문을 열어둘 것”이라고 대화의 필요성도 강조했다.
이날 기념사에서 문 대통령은 한류(韓流)의 성과를 강조하면서 “첫 민주 정부는 김대중 정부”라고 언급해 논란이 일기도 했다. 그는 “첫 민주 정부였던 김대중 정부는 자신감을 가지고 일본 문화를 개방했다”며 “우리 문화예술은 다양함 속에서 힘을 키웠고, 오히려 일본 문화를 압도할 정도로 경쟁력을 갖게 됐다”고 했다. 이에 국민의힘은 논평에서 “민주주의의 기치를 바로 세운 (김영삼) 문민정부를 의도적으로 패싱한 저의가 무엇인가”라며 “임기 마지막 3·1절까지도 지긋지긋한 편 가르기로 국민 분열을 야기하려 함인가”라고 비판했다.
문 대통령의 이날 기념사는 원론적인 수준에 그쳤다. 한일 및 남북관계 진전이 없는 상황에서 임기 2개월을 남기고 구체적 해법을 제시하기보다는 정부 기조만 재확인한 것으로 풀이된다. 이날 기념식이 열린 국립대한민국임시정부기념관은 독립유공자와 독립운동 사적지 발굴 등을 목적으로 이날 처음 개관했다.
박효목 기자 tree624@donga.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