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트렌드 생활정보 International edition 매체

1인당 국민소득 3만5000달러 돌파…환율 착시효과도

입력 | 2022-03-03 08:05:00


지난해 우리나라의 1인당 국민총소득(GNI)이 사상 처음으로 3만5000달러를 돌파하면서 3년 만에 증가 전환했다. 이로써 1인당 국민소득은 2020년 기준으로 이탈리아를 제치고 6위에 올라 G7(주요7개국) 반열에 올라섰다. 하지만 원·달러 환율 하락과 인구감소 등의 착시 효과가 크다는 지적도 나온다. 실질 국내총생산(GDP) 성장률은 속보치와 같은 4.0%로 11년만에 최고 수준을 기록했다.

한국은행이 3일 발표한 ‘2021년 4분기 및 연간 국민소득(잠정)’에 따르면 지난해 1인당 국민총소득은 미 달러화 기준으로 전년대비 10.3% 늘어난 3만5168달러로 집계됐다. 지난 2019년, 2020년 마이너스를 보인 후 3년 만에 증가 전환한 것이다. 상승폭은 2010년(20.9%) 이후 11년 만에 가장 컸다.

1인당 국민소득은 한 나라 국민의 평균적 생활 수준을 보여주는 지표다. 명목 물가를 반영한 성장률인 명목 GDP에 명목 국외순수취요소소득을 더한 명목 GNI를 통계청 추계 인구로 나눠 원·달러 환율을 반영해 산출한다. 달러화로 환산되기 때문에 환율이 하락하면 1인당 GNI는 증가하게 된다.

1인당 국민소득은 지난 2017년 3만1734 달러로 첫 3만달러대를 돌파한 뒤 2018년 3만3564 달러까지 상승했으나 2019년(3만2204 달러), 2020년(3만1881 달러) 2년 연속 하락했다.

1인당 국민소득이 큰 폭 증가한 것은 명목 국민소득이 지난해 6.4% 성장한 가운데, 매매기준 일 평균 원·달러 환율이 1144.4원으로 전년(1180.1원) 보다 에서 3.0% 하락한 영향이 컸다. 원화 기준으로는 4024만7000원으로 전년대비 7.0% 늘었다.

최정태 한은 국민계정부장은 “1인당 국민소득이 두자릿 수 상승한 데는 경제성장과 물가, GDP디플레이터 상승, 환율 하락이 기여 했다”며 “경제성장이 1272달러, 물가 상승이 762달러, 환율 하락이 1061달러 만큼 기여했다”고 말했다.

2020년 기준 우리나라의 1인당 국민소득은 세계 36위로 인구 5000만명 이상 국가 중에는 이탈리아를 제치고 6위로 올라섰다. 다만 지난해에 이탈리아를 앞질렀는지는 국제기구에서 집계가 나오는 5월 이후에나 확인이 가능하다는 설명이다.

최 부장은 “지난해 순위는 아직 다른 나라 국민소득 통계가 공표되지 않아 알 수 없다”며 “이탈리아의 경우 유로화 기준으로 내일 발표되지만 정확한 순위는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국제연합(UN) 등 국제기구에서 달러화 기준으로 발표되는 5~6월께 돼야 알수 있다”고 말했다.

한은은 수년 내 1인당 국민소득이 4만 달러 달성이 가능할 것으로 전망했다.

최 부장은 “경제성장률, 환율, 물가, 실질 국외순수취요소소득 모두 반영되기 때문에 예측하기 어렵지만 코로나 극복하고 경제성장세가 이어진다면 수년 내에 달성 가능할 것이라 보인다”고 말했다.

지난해 우리나라의 실질 GDP는 전년대비 4.0% 증가했다. 지난 1월 발표된 속보치와 동일한 수치로 한은의 기존 전망치와도 같다. 2010년 6.8% 성장 이후 11년 만에 가장 높은 수준을 기록했다.

분기별로는 1분기 1.7%를 기록한 후 2분기(0.8%), 3분기(0.3%)로 낮아지다가 4분기에는 1.2%로 양호한 성적을 거뒀다. 4분기 GDP는 속보치보다 0.1%포인트 상향됐다. 코로나19 4차 유행으로 감소했던 민간소비와 건설투자가 다시 증가세로 돌아섰고 정부소비와 수출이 증가를 지속한 영향이다.

지난해 성장률은 2016년(2.9%), 2017년(3.2%), 2018년(2.9%), 2019년(2.2%), 2020년(-0.9%) 등 최근 5년 간을 살펴봐도 높은 수준이다.

코로나19 팬데믹 속에서도 수출의 견조한 흐름이 이어지고 민간소비도 회복되면서 전체 경제 성장률을 끌어 올렸다. 2020년 코로나19 충격으로 역성장한데 따른 기저효과도 작용했다.

지난해 민간의 성장 기여도는 3.2%포인트, 정부의 성장 기여도는 0.7%포인트 였다. 민간소비와 정부소비는 각각 1.7%포인트, 1.0%포인트 성장에 기여했다. 수출이 견조한 흐름을 보이면서 순수출(수출-수입)도 성장을 0.8%포인트 끌어올렸고, 설비투자도 0.7%포인트기여했다. 반면 건설투자는 부진한 모습을 보이면서 전체 성장률을 0.2%포인트 끌어내렸다.

코로나19 대유행으로 침체됐던 가계 씀씀이가 살아나면서 민간소비는 전년도 마이너스에서 벗어나 3.6% 증가 전환했다. 이는 2010년(4.4%) 이후 11년 만에 최고 수준이다. 수출도 반도체, 자동차, 석유화학 등 주요 품목이 고르게 성장하면서 9.9% 증가 전환해 2011년(15.4%) 이후 가장 높은 수준을 기록했다.

정부소비는 5.5% 늘어 2020년(5%)에 이어 높은 수준을 보였다. 토목건설 부진으로 건설투자는 지난해 1.5% 줄었으나 설비투자는 8.3% 늘었다. 2017년(16.5%) 이후 4년래 최고 수준이다.

지난해 4% 성장하기는 했지만 전년도 역성장에 대한 기저효과 영향도 컸던 것으로 분석된다. 과거에도 외환위기와 글로벌 금융위기 등 위기 직후에는 성장 반등 수준이 컸다. 실제로 외환위기 시기인 1998년에는 -5.1% 역성장한 후 1999년 11.5%로 큰 폭 뛰어 올랐다. 또 글로벌 금융위인 2009년에는 0.8% 성장한 후 다음년도인 2010년 6.8% 반등했다.

국민들이 실질적으로 손에 쥐는 소득을 나타내는 실질 국민총소득(GNI)은 실질 국외 순수취요소소득이 늘었으나 교역조건 악화로 실질 무역손실 규모가 확대되면서 GDP보다 낮은 3.5% 증가에 그쳤다. 실질 GNI는 국민총소득은 국민이 일정기간 국내외에서 벌어들인 소득의 실질 구매력을 나타내는 지표다.

실질 GDP에 그해 물가를 반영한 명목 GDP는 전년대비 6.4% 증가했다. 명목 GNI는 명목 국외 순수취요소소득이 늘어나 명목 GDP보다 높은 6.9% 증가했다.

우리나라의 포괄적 물가 수준을 나타내는 GDP 디플레이터는 전년대비 2.3% 상승해 2015년(3.2%) 이후 6년 만에 최고치를 기록했다.

최 부장은 “GDP 디플레이터는 국내 물가 뿐 아니 수출입 물가도 반영한 수치로 소비자물가, 수출입물가, 임금, 환율 등 각종 가격 지수가 종합 반영된다”며 “교역조건 악화에도 내수 디플레이터가 민간소비, 건설 투자 중심으로 오름폭이 확대된 영향이 크다”고 말했다.

GDP 디플레이터가 한은의 물가안정 목표 수준인 2%를 넘어선 것과 관련 한은은 스태크플레이션을 판단할 수 있는 것은 아니라는 설명이다.

최 부장은“생산 측면에선 기업이 생산한 모든 재화, 부가가치 가격을 의미하고 지출 측면에서는 내수, 수출을 포함한 것에서 수입 가격을 차감한 것”이라며 “우리나라처럼 수출 비중이 크고, 특히 반도체 원유 차지 비중이 높고 가격 변동성이 큰 나라에서는 GDP 디플레이터를 통해 국내 물가를 판단하는 것에는 한계가 있다”고 말했다.

총저축률은 36.1%로 전년대비 0.2%포인트 상승했다. 국내총투자율은 31.5%로 전년대비 0.2%포인트 하락했다.


[서울=뉴시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