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트렌드 생활정보 International edition 매체

가족 간병하느라 삶의 길 잃은 청년들… “동지 있어 견딥니다”

입력 | 2022-03-04 03:00:00

19세때부터 치매 부친 간병 조기현씨, 7인의 이야기 담은 ‘새파란 돌봄’ 내
11년간 치매 할머니 돌본 20대 여성, 알코올중독 동생 8년 수발 20대 남성
어려움 나누며 서로 버틸 힘 얻어
가족 위해 진학-취업의 길 포기도 “위로 넘어 사회가 돕는 길 열렸으면”



신간 ‘새파란 돌봄’의 저자 조기현 씨는 2일 인터뷰에서 “요즘에도 2주에 한 번씩 가족을 간병하는 또래를 만난다”며 “이들 중 안정적인 직장을 가진 이는 거의 없다. 언제 병원으로 달려가야 할지 모르는 상황이 반복돼 인간관계뿐 아니라 경제적으로도 고립된다”고 말했다. 양회성 기자 yohan@donga.com


무작정 대학병원 로비와 동주민센터, 보건소, 치매 안심센터를 찾아 헤맸다. 혹시 나처럼 청소년 시절 아픈 부모를 간병하는 친구들을 마주치지 않을까. 병원 로비에 앉아 있는 또래를 마주치면 심장이 뛰었다. 이들에게 다가가기 위해 명함을 팠다. 이름과 연락처 아래 간단한 문구를 하나 새겼다. ‘저처럼 아픈 부모를 돌보는 청년을 찾고 있습니다.’ 명함을 숱하게 돌려봤지만 연락은 없었다.

“정말 나밖에 없을까. 그러면 나라도 말해야겠다고 결심했죠. 어린 나이에 부모를 돌보느라 대학도 직업도 선택하지 못한 채 길을 잃어버린 청년이 있다고.”

2019년 조기현 씨가 병원에 입원한 아버지와 팔씨름을 하고 있다. 조기현 씨 제공

열아홉 대학에 갈 나이부터 10년 넘게 치매에 걸린 아버지를 돌보고 있는 조기현 씨(31)가 2019년 에세이 ‘아빠의 아빠가 됐다’(이매진)를 펴낸 이유다. 뜻밖에도 출간기념 강연에서 그토록 찾아 헤맨 친구들을 만나게 될 줄은 몰랐다. 이번에는 그들이 먼저 다가왔다. “저희 엄마도 아파요.” “아빠가 3개월 전 쓰러졌어요.”

“중학생부터 제 또래까지 다양했죠. 반가운 마음에 어디 사느냐고 물었더니 한 친구는 저랑 같은 동네에 살고 있었어요. 이렇게나 가까운 곳에 있었던 거예요.”

그가 첫 책을 낸 후 3년 만에 가족을 돌보는 청장년 7명의 이야기를 담은 신간 ‘새파란 돌봄’(이매진)을 최근 펴냈다. 서울 영등포구 카페에서 2일 만난 그는 “3년 전 출간기념 강연에서 중학생 희준(가명) 군을 만난 후 비슷한 처지의 친구들로부터 많은 e메일과 인스타그램 메시지를 받았다”며 “이 책은 나 혼자만이 아닌 ‘우리’의 이야기”라고 했다.

그가 만난 이들은 10대부터 40대까지 다양한 연령대로, 청소년 시절부터 가족을 간병해왔다. 20대 여성 푸른(가명)은 12세부터 11년간 치매에 걸린 할머니를 돌봤다. 어린 시절 부모가 이혼했고 아빠는 공사장을 전전했다. 하루에 다섯 번씩 할머니의 대소변을 받아내고, 두 살 어린 동생의 끼니를 챙기는 건 그의 몫. 20대 남성 형수(가명)는 알코올 중독자 동생을 8년간 돌보며 더는 자신의 미래를 꿈꾸지 않게 됐다. 병원 입·퇴원을 반복하는 동생 곁을 지키느라 정작 자신의 삶을 돌보지 못한 것.

속마음을 털어놓지 못하고 홀로 눈물을 삼켜야 했던 이들은 서로를 만나 버텨낼 힘을 얻었다. 10대 때부터 10년 넘게 조현병과 알츠하이머를 동시에 앓은 어머니를 간병한 청년은 조 씨에게 이렇게 말했다.

“이제는 거리 한복판에서 엄마를 통제할 수 없는 상황에 놓일 때 구경하듯 쳐다보는 사람들의 시선이 두렵지 않아. 견딜 만해졌어. 더는 혼자가 아니니까.”

조 씨는 위로를 넘어 변화를 꿈꾼다. 2020년 6월 만난 한 사회복지사의 고백에서 답을 찾았다. 10년 전 단정치 못한 모습의 중학생이 사는 집을 방문했을 때 거동이 불편한 할머니를 홀로 돌보는 걸 보고 “너 보기와 다르게 효자구나”라는 말만 남긴 채 집을 나섰다는 얘기였다. “당신의 책을 읽고 나서야 그때 그 아이가 위기상황에 놓여 있었다는 걸 깨달았다. 그때 나는 칭찬이 아니라 도움을 줬어야 했다”는 사회복지사의 반성에서 작은 변화를 보았다.

“선생님이 학생을 면담하거나 사회복지사가 가정을 방문하고 보고서에 ‘아이가 가족을 돌보고 있음’이라는 한 줄을 쓰는 데서 변화는 시작될 거예요. 복지체계에 ‘가족 돌봄 청년’이라는 항목이 생기면 지원책도 따라올 테니까요.”

이소연 기자 always99@donga.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