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트렌드 생활정보 International edition 매체

기름값 뛰는데 외식비에 집세·공공요금까지…서민 허리 휜다

입력 | 2022-03-04 11:33:00


우크라이나 사태 등에 따른 지정학적 요인으로 국제유가가 치솟는 가운데 외식비와 집세, 전기요금 등도 함께 오르면서 서민경제에 부담을 더하고 있다.

정부는 5년 만에 장관급 물가회의를 열고 유류세 연장 방안 등을 포함한 대책을 내놨지만, 물가가 안정세로 돌아설지는 미지수다.

4일 통계청의 ‘2월 소비자물가 동향’ 자료를 보면 지난 2월 물가의 기조적 흐름을 보여주는 근원물가(농산물·석유류 제외 지수)는 104.22로 전년 대비 3.2% 상승했다. 전달(3.0%)과 비교하면 0.2%포인트(p) 오름폭이 확대됐다.

이는 계절적 요인이나 일시적인 충격에 의해 영향을 크게 받는 품목을 제외한 물가 지표다. 전체 458개 품목 가운데 농산물과 석유류 관련 품목을 뺀 401개 품목으로 구성된다.

지난달 근원물가는 2011년 12월(3.6%) 이후 10년 2개월 만에 최대 증가 폭을 기록했다. 3%대 증가율이 2개월 연속 이어진 것도 2012년 1월 이후 처음이다.

근원물가를 이루는 핵심 품목들인 개인서비스와 공업제품(석유류 제외)에 대한 물가 상승 압력이 지속적으로 확대되는 추세라는 분석도 나온다.

실제로 지난 2월 개인서비스의 물가 기여도는 1.32%p에 달한다. 전체 상승률이 3.66%인 점을 감안하면 비중이 꽤 크다.

개인서비스에 포함되는 외식 물가가 6.2%로 큰 폭 상승했기 때문이다. 이는 2008년 12월(6.4%) 이후 13년 2개월 만에 최고치이며 외식 물가의 기여도는 0.78%p다.

공업제품으로 분류되는 가공식품과 기타 공업제품의 물가 기여도도 각각 0.47%p, 0.12%p로 집계됐다.

어운선 통계청 경제동향통계심의관은 “수요 측면에서 물가 상승 압력이 있고, 농축수산물 가격 상승 누적에 따른 제료비 인상 등 제조 원가 상승 요인이 더해지면서 가격이 계속 오르고 있다”며 “가공식품의 경우 곡물 가격 상승과 지난달 명절 할인 종료 등이 영향을 미친 것으로 보고 있다”고 설명했다.


집세와 공공요금도 물가 상승에 한몫하고 있다.

지난 2월 집세 물가는 전년 대비 2.1% 올랐다. 이에 따른 물가 기여도는 0.2%p다. 세부적으로 전세와 월세가 각각 2.9%, 1.1% 상승했다.

같은 기간 전기·가스·수도 물가는 2.9% 뛰었고, 기여도는 0.1%P로 나타났다. 여기에는 전기요금(5.0%), 상수도료(4.1%), 도시가스(0.1%) 등이 포함된다.

특히, 전기·가스요금의 경우 원유, 천연가스 등 원료 가격 변동에 따라 앞으로 인상 폭이 더 커질 수 있다는 점에서 우려가 나온다.

한국석유공사 유가정보사이트 오피넷에 따르면 지난 3일 기준 국내로 수입되는 원유의 기준인 두바이유 가격은 배럴당 116.65달러로 지난해 말과 비교해 51.3% 올랐다.

같은 기간 브렌트유(선물)와 서부텍사스원유(WTI·선물) 가격은 각각 42.0%, 43.2% 오른 110.46달러, 107.67달러를 기록했다. WTI는 장중 한때 116달러 넘게 오르면서 2008년 9월 이후 14년여 만에 최고치를 갈아치우기도 했다.

이런 영향으로 지난달 석유류 물가는 19.4% 뛰었다. 물가 기여도 역시 0.79%p로 높은 수준이다. 품목별로 보면 휘발유(16.5%), 경유(21.0%), 등유(31.2%), 자동차용LPG(23.8%) 등에서 모두 올랐다.

어 심의관은 “국제유가 상승, 곡물 가격 상승, 글로벌 공급망 차질 등 대외적인 물가 상승 요인에 우크라이나 사태 등 지정학적 위험 요인이 가세하면서 공업제품 물가는 더 악화될 우려가 있다”며 “개인서비스의 확산지수도 계속 확대되고 있어서 전체 물가 오름세가 둔화될 가능성은 크지 않다”고 진단했다.

이에 정부는 이날 5년 만에 ‘물가관계장관회의’를 열고 대응 방안 마련에 나섰다.

먼저 고유가로 인한 물가 영향을 최소화하기 위해 오는 4월 말 종료 예정인 유류세 20% 인하와 액화천연가스(LNG) 할당관세 0% 적용을 7월 말까지 3개월 연장한다는 방침이다.

국제유가가 현 수준보다 더 오르면서 경제 불확실성이 확대될 경우 유류세 인하 폭을 확대하는 방안도 검토하기로 했다.

가공식품·외식업계 비용 부담을 완화하기 위해 사료·식품 등 원료 구매 자금에 대한 금리도 각각 0.5%p씩 낮춘다. 또한 70억원 규모의 농축수산물 할인 쿠폰을 이달까지 지원할 예정이다.

홍남기 경제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은 회의에서 “물가의 경우 가격 결정이 자율화된 시장경제에서 정부 조치 및 노력만으로 물가 안정을 이루는 데 한계가 있다”며 “관련 업계들도 가격 인상 시기 및 인상 폭 조정 등을 통해 정부의 물가 안정 노력에 적극 동참·협조해 줄 것을 요청한다”고 전했다.

[세종=뉴시스]